반도체/에이직랜드

에이직랜드 - TSMC에게 한국 시장이 중요한 이유

okokokokokok 2024. 7. 24. 08:45
반응형

2024.07.24/신한투자증권/허성규

 

1. 디자인하우스 및 반도체 IP 업종의 주가 상승 후 성장 모멘텀 둔화
   - 2023년 동안 주가가 상승했지만 기대와 실적 간의 괴리, 수주 지연, 투자 비용 증가로 성장 모멘텀 둔화.

2. 한국 소재 디자인하우스 필요성
   - 한국에 위치한 유일한 TSMC 디자인하우스로서 성장 동력 높음.
   - 한국 팹리스들이 TSMC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한국 소재 디자인하우스 수혜 예상.

3. 메모리의 파운드리화
   - TSMC가 다양한 공정 및 어플리케이션 경험과 IP 및 디자인하우스 등 생태계 조성으로 경쟁 우위.
   - 메모리 컨트롤러가 로직 다이에 탑재되는 HBM4부터 메모리 공정이 아닌 TSMC를 통해 양산될 예정.
   - 3D 패키징 및 7세대 HBM에서 커스텀화가 심화될 예정으로 TSMC의 패키징 역량 중요성 증가.

4. TSMC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 2024년 1분기 기준 TSMC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62%.
   - 삼성전자와 인텔 파운드리가 단기간 내 따라잡기 어려움.

5. 대만 R&D 센터 가동
   - 2023년 3분기부터 대만 R&D 센터 가동, CoWoS 및 3/5nm 공정 경험, 대만 현지 인력 10명 확보로 경쟁력 강화.

6. HBM 시장 비중 증가 전망
   - HBM 시장 비중이 2023년 8%에서 2025년 30%로 증가할 전망.
   - HBM4부터 메모리 컨트롤러가 로직 다이에 탑재, TSMC를 통해 양산 예정.

7. 수익성 감소 예상
   - 2024년 2분기 서버 및 보안 투자 비용 집행, 신사옥 감가상각비 인식 시작, 대만 인력 채용으로 전분기 대비 수익성 감소 예상.
   - 하반기 메모리 관련 고객사와 계약 논의 중이며 가시화될 경우 실적 추정치 상향 가능.

 

* TSMC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62%라고 에이직랜드에 좋은 이유가 있나 의구심.

에이직랜드 보고서가 아닌 TSMC 보고서로 보임, TSMC가 AI 관련으로 실적 좋아봐야 에이직랜드 수혜는 없을듯 주가만 봐도 3월초 부터 계속 하락하며 완전 역배열 지속 중.

반도체 업종이 최근 조정중이라 보이는데 차라리 낸드 소부장이나 온디바이스 관련 기업 관심 갖는게 어떨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