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카카오

카카오 - 자회사 밸류에 대한 고찰

okokokokokok 2025. 4. 17. 08:54
반응형

2025.04.17/키움증권/김진구

1) 카카오모빌리티 FSD 밸류

  • 카카오모빌리티는 제휴 택시 기반 FSD(완전자율주행) 솔루션 도입을 통해 택시 기사들과 긴밀한 협력 구조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됨.
  • ASI(Autonomous Service Industry) 기반 자율주행의 장점은, 택시 기사가 노동 없이도 24시간 수입을 올릴 수 있어 택시 라이선스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점임.
  • 기존 완성차 업체의 데이터 활용 방식과 달리, 택시 기사는 수입 증가와 직접 연계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동의 이슈 없이도 긍정적인 협력 관계가 가능.
  • 현재 카카오모빌리티 기업가치(6.1조원)에는 FSD 관련 데이터 기반 수익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2) 카카오엔터테인먼트 Value

  • 오픈AI의 GPT-4o 기반 이미지 기능 등 AI 기술의 빠른 확산은 콘텐츠 시장의 빠른 변화 가능성을 시사함.
  • 향후 콘텐츠 소비가 수동형에서 능동형으로 변화하고, AI와 검색의 결합으로 개인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확대될 전망.
  • 카카오는 검색 기반의 피드 콘텐츠 라인을 통해 타겟 광고 비즈니스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음.
  • 이는 기존 휴먼 크리에이터 시장에 도전하면서도, 저작권·엔터 사업 전체의 가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됨.
  • 따라서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중장기적으로 가치 상승이 예상됨.

3) 소셜앱 관련 확장 가능성

  • 카카오톡은 단순 슈퍼앱을 넘어, AI 기반 피드 중심 소셜앱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음.
  • 오픈AI의 소셜앱에 대한 관심 및 글로벌 확장 히스토리와 결합될 경우, 향후 글로벌 확장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