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otes

2024.08.11

okokokokokok 2024. 8. 11. 22:53
반응형

- 월요일 패닉은 단기인지, 장기 추세 변환 인지...

BOJ 금리 인상와 같은 날이라 가장 큰 영향이라 인식

경기둔화와 침체로 하락은 오래동안 하락일수 있음

그게 아니면 단기 하락인 경우 있음

 

- 단기적으로는 안정 찾을수 있음

경기 둔화는 이전부터 지속되고 있었음

아직까지 경기 지표는 경기 침체를 나타내지는 않는듯

 

- S&P500 3월 둘째주부터 시장 고평가 걱정

IMF 24년 4월, 글로벌 경제 성장률 앞으로 둔화 예상

미국 고금리로 둔화 신호 나타남

미국 신용카드 부채 2분기 기준 사상 최대

ISM 7월 제조업 PMI 46.8, 예상 48.8, 전월 48.5 / 8월5일 ISM 7월 서비스업 PMI 51.4

 

- 지속적으로 경기 둔화 지표 및 신호는 보여줬었음

BOJ 금리인상이 트리거로 작동

시장 참여자들 그동안 엔화 약세에 배팅을 엄청나게 했었음

 

- 이번 패닉 지난 후 예전처럼 추세적인 상승은 힘들듯

경기 둔화는 계속 되고 있었음

 

- 금리, 환율은 항상 관심 갖고 봐야한다

수급을 움직이는데 큰 영향을 줌

 

- 일본 2008년 제로금리 정책

일본 금리 인상 및 엔화 강세 전환

BOJ 부총재 -> 필요시 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 현시점 완화 정책 필요

 

- 올해 하반기 중요한 변수

BOJ 금리 인상

중국 경기 부양 -> 미국 대선 정도 나올수 있음

미국 대선과 미-중 패권 경쟁

정상화 과정 속의 위험 -> 금리 정상화, 일본 금리 정책 정상화

 

- 차트에는 심리가 담겨 있음

차트 과정 보면서 이런 개연성이 있다 판단해야함

트레이딩시 차트 참조

 

- 수급 -> 외국인이 많이 사다 매도 중, 개인이 나홀로 매수 보여줌

기관 매수세 들어오는지 관심, 올해 기관은 1년내내 계속 팔고 있음

8월에는 개인 매수, 외국인 매도, 기관 매도

기관이 매수세로 돌아서며 하방을 지켜주는 역할 할수 있음

 

- 경기가 경착륙이든 침체든 뭐든 불변은 있음

이익 지속 위한 경제적 해자 있는 기업

산업을 이끌어갈 기술

이익 성장이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

기술을 사용하는 유저가 글로벌 시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