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1
- 연준 기준금리 0.5% 인하 -> 반도체 울고 바이오 웃고...
- FOMC 11, 12월 남았음
- 미대선 남아 있어 기업들 고용, 투자 정책 결정 대선 이후로 연기 가능성 있음
대선 전까지 지표 부진 가능성 높음 -> 주가 변동성 증가
- 파월 의장
과잉 긴축에 따른 리스크 완화
실업 지표 조금씩 둔화 막기 위한 선제 조치
효과는 6개월 정도 나오며 연착률을 위한 조치
- 이번 점도표도 계속 가는건 아니고 변화 가능성 높음
- 중국 청년 실업률 16~17% 실제 더 높을듯 -> 경기 침체
아에 돈을 못쓰고 있음, 20~30대 여성 화장 안하고 맨얼굴
- 미국 직장은 있고 물가가 높아 소비 형태가 변형됨 -> 경기 둔화
- 파월의장 0.5% 하면서 경기침체 아니라 언급, 시장이 침체로 인식할까봐 인듯
- 레거시 반도체 시장 부정적이라 한국 반도체 업종 주가 하락 -> 다소 과한 부분 있는듯
- HBM,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내년 물량 선점 받았음
- 한국시장 이전에 비해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음 -> 외국계 보고서 영향이 이전보다 더 커진것으로 보임
- 미국 침체는 아니나 둔화 -> 내구재 소비 둔화 주가에 반영되나 한국은 과하게 반영 중인듯
- 중국 경기 영향에 아직 발목 잡고 있는 부분 있음
- 라면, 식품 고점대비 하락
미국 경기 둔화되면 소비 축소 영향 우려
- 화장품, 인디 브랜드
개별 회사 보다는 ODM 기업으로 접근이 긍정적
중국 포지션 많은 기업 보다는 그외 국가 특히 미국 포지션 높은 기업 긍정적
- 제약 바이오 최근 긍정적 영향 보이고 있음
한국 신약 및 후보 물질 개발 능력 향상
미국 비만 치료제 이슈
미국 생물보안법 영향
정책 + 금리 + 신약 개발 3박자 맞아 떨어지면 제약/바이오 주가 긍정적
- 송배전, 변압기 관련주
미국 관련 기업은 주가 우상향 중, 한국 관련 기업은 아직 약세 추후 우상향 가능성 높을듯
- 러셀2000 -> 대부분 미국 내수에 관련된 기업이 많음, 금리 인하에 수혜 가능성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