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otes

2024.07.03

okokokokokok 2024. 7. 3. 20:36
반응형

한국과 미국 테크 기업 언커플링

 

하반기는 미국 테크 시장이 긍정적

국내는 당분간 미국 대비 덜 긍정적

미국장은 대선전까지 괜찮을듯

3분기말이나 되야 좋아질까...

 

상반기 수출, 전년대비 9.1% 증가

상반기 수입 전년대비 -6.5% 하락

수출은 좋고 내수는 엉망인 상황 -> 수출 기업에 관심 필요

무역흑자 30조원 정도

2018년 상반기 이후 최대치

 

수출 일등 공신 -> 반도체

15개 주요 품목 중 9개 상승

1. 반도체 압도적

2. 하이브리드차

 

대미 수출 증가, 4년 연속 최대치 -> AI와 제조업, HBM

대중 수출 선방, 전년대비 5.4% 증가, 레거시 반도체

 

요즘 주가 빠지는 이유

지금 업황 2025년 1분기 반영

항상 업황 보고 반도체 투자는 이미 늦음

 

지금 공부해야 겨울에 씨를 뿌릴수 있음

 

디램, 낸드 아직 감산 진행 중...

 

CAPEX 확대할 때 수헤는 팹 인프라 장비 관련 종목

유니셈 -> 칠러, 스크러버 장비

GST와 사업 구조 유사, GST는 액침냉각으로 너무 올랐음

국내 점유율 -> 가스 스크러버 50%, 칠러 40%

고객사 -> 삼성전자

2분기 슬로우, 수주 하반기로 지연

하반기는 되야 신규 팹 수주

극저온 식각 장비 진행 중 -> 칠러

스크러버 기존에 증착에 주로 사용, 식각공정으로 확대

삼성전자 TSV 공정에 납품 기대

 

 

- 24년 6월 수출입 데이터

반도체 -> 디램, 디램모듈, SSD 데이터 꾸준히 상승 중

파크시스템스 원자현미경, 테크윙 핸들러 등 5월 대비 6월 수출 증가

HPSP, 예스티 고압 수소 어닐링 장부 수출 6월 크게 증가

 

이차전지

삼성SDI, LG엔솔, 등 셀업체 ESS 회복세

와이엠텍 EV Relay 중 1000V 초과 제품 5월대비 4배 증가

NCA 양극재 전월대비 30% 증가

 

미국향 색조화장품 수출 끝 모르고 성장 중

클래시스, 제이시스메디칼, 원텍 등 미용기기 수출도 전달 대비 50% 개선

 

음반 수출 5월 대비 40% 가까이 증가 22년 이후 최고치

핫도그 라면 등 음식료 수출도 역대 최고 수준 유지

 

캐나다 오일샌드, 수십미터 아래 매장, 유가 배럴당 43.5달러 이상이면 금융비용과 기본 배당 유지 가능 분석

미국 WTI보다 배럴당 18~19달러 낮게 거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