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전기전자 - 속도의 차이일 뿐 방향성은 확실
2025.01.02/신한투자증권/오강호, 심지현, 서지범
1. 2025년 AI 클라우드 Cycle 확산 및 IT서비스 리레이팅
- AI 도입 가속화로 IT서비스 업체들의 실적 개선 및 주가 리레이팅 구간.
- 글로벌 빅테크의 AI 관련 투자 → CSP, MSP 사업자 중심으로 실적 및 밸류에이션 재평가 예상.
2. 글로벌 CSP 업체의 시장 지위 강화
- 주요 CSP 사업자: GCP(GOOGLE), Azure(MSFT), AWS(AMZN), 오라클(ORCL).
- 각 업체의 2024년 예상 수익률: GCP 37%, Azure 14%, AWS 46%, 오라클 60%.
- 클라우드 작업 환경 전환(멀티/하이브리드/프라이빗 옵션 증가)으로 데이터 관리, 워크플로우, 사이버 보안 등 관련 테마 강세 전망.
3. 삼성에스디에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국내 대표 CSP/MSP 사업자.
- 클라우드 매출 성장: 2024년 +30% 성장 예상 → 글로벌 트렌드와 부합.
- 밸류에이션 매력: 2024년 예상 P/E 13.2배로 과거 Low P/E(17.4배) 대비 저평가 구간.
- AI 도입 확대와 클라우드 실적 개선으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
4. 결론: 한국 IT서비스 밸류체인 성장 가능성
- 국내와 글로벌 성장률 차이는 있지만 방향성은 동일.
- AI 비즈니스 확대로 수익성과 중장기 성장 모멘텀 강화.
- 코로나19 시기에는 디지털 전환(Q 증가)가 성장 견인, AI 확대 시기에는 P(가격)와 Q(수량) 동반 증가 예상.
- AI 관련 IT서비스 밸류에이션은 과거 High를 상회할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