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6/IBK투자증권/이현욱
1. 중국 흑연 수출 통제 가능성
- 핵심 내용: 중국이 배터리 음극재의 필수 원료인 흑연의 수출을 통제할 가능성을 시사.
- 영향:
- 공급망 불안 초래 가능성.
-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원재료 조달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
- 대체 공급망 확보 및 기술 개발이 중요한 시점.
2. 중국 스마트폰의 '실리콘 음극재' 채택
- 핵심 내용: 중국 제조사들이 실리콘 음극재를 채택한 배터리를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도입.
- 문제점:
- 안정성 및 가격이 대중화의 걸림돌.
- 한국 기업들도 실리콘 음극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할 필요.
3. LG에너지솔루션, GM의 얼티엄 3공장 지분 인수 추진
- 핵심 내용:
- GM이 북미 전기차 판매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며, Ultium 3공장 지분 매각 추진.
-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인수해 단독 공장으로 전환할 계획.
- 의미:
-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에서 독립적 생산기반을 강화하려는 전략.
- GM은 투자금을 회수하며 북미 전기차 수요 변화에 대응.
4. 미국,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법인 지원
- 핵심 내용: 미국 에너지부가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합작법인 스타플러스에너지에 10조 원대 조건부 대출 지원을 결정.
- 의미:
-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및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책 방향.
- 삼성SDI의 북미 시장 내 입지 강화.
# 분석 및 주목 포인트
1. LG에너지솔루션의 전략적 행보
- 최근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며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
- GM과의 협력 심화와 동시에 단독 공장으로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주목할 만함.
2. 중국 수출 통제의 파급 효과
- 흑연 외에도 다른 핵심 소재에 대한 통제가 확대될 경우, 배터리 산업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한국 기업들의 원재료 확보 다각화와 국산화 연구가 시급.
3. 미국의 대규모 지원책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같은 정책으로 북미 내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이 이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
# 결론
-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기술 혁신과 공급망 안정화가 핵심 이슈로 부상.
-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북미와 유럽 중심의 시장 확대와 소재 기술 자립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이번 주의 뉴스들은 전기차 시장이 단순한 성장에서 공급망 안정과 효율화로 초점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산업 > 자동차(전기차, 이차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 (0) | 2025.03.19 |
---|---|
전기차/배터리산업 - 2025년 전기차 시장 회복 전망 유지 (0) | 2024.12.30 |
Mobility/EV - 11월 미국 신차 판매 (0) | 2024.12.05 |
자동차 - 쉽지 않은 상황에서 견조한 판매 지속 (0) | 2024.12.04 |
자동차/부품 - 트럼프 폭격에서찾아야 할 기회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