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POSCO홀딩스 11

POSCO 홀딩스 - 점진적 철강 이익 회복세 기대

2025.04.15/유진투자증권/이유진1Q25 실적 예상 연결 매출액 17.4조원, 영업이익 4,705억원(OPM 2.7%) 예상. 철강 부문 영업이익 3,619억원 예상, 투입단가 하락과 ASP 상승으로 고로 스프레드 개선 전망.철강 부문 해외사업 확대 4/13일, POSCO홀딩스가 현대제철의 미국 제철소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 예정(~2029년). 철강 사업은 내수 시장 정점을 지나 해외시장 진출이 필수적. 일본제철은 일본 내 고로를 10기로 줄이고, 인도, 태국, 미국 등으로 진출 중. POSCO는 JSW와의 인도 일관밀 투자(5조원) 계획.투자의견 및 목표가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90,000원 유지. 업종 내 Top-Pick으로 유지.

POSCO홀딩스 - 최악을 지나는 중….

2025.04.07/하나증권리서치센터/박성봉1분기 실적 요약 매출액: 17.7조원 (YoY -2.2%, QoQ -0.8%) 영업이익: 4,437억원 (YoY -23.9%, QoQ +365.2%) 시장 컨센서스(5,907억 원) 대비 하회 1분기 실적 부진 요인1) 연휴 영향으로 조업일수 감소, 제품 판매량 823만톤 (QoQ -2.8%)2) 탄소강 ASP, 원재료 투입단가 모두 전분기와 유사 → 스프레드 변화 제한적3) 해외 자회사 수익성 악화: 동남아 판매단가 하락 영향4) 2차전지 소재 자회사 적자 유지, 반면 국내 자회사 수익성 개선2분기 전망: 판매량 증가 및 스프레드 확대 판매량: 843만톤 (YoY +7.3%, QoQ +2.5%) 탄소강 가격(ASP) 상승 예상 → 후판과 열연 중심..

POSCO 홀딩스 - 철강/인프라는 개선 예상. 에너지소재는 아직…

2025.04.01/신한투자증권/박광래, 한승훈2025년 연간 실적 전망 매출액 74.9조 원(+3.1% YoY), 영업이익 2.96조 원(+36.1%) 예상 4년 만에 이익 증가 가능성 2026년 리튬 사업 흑자 전환 기대, 주가 상승 요인 1Q25 실적 전망 영업이익 5,715억 원(+495.4% QoQ), 시장 기대치(6,174억 원) 소폭 하회 사업부별 영업이익: 철강: 4,141억 원(+24.0%) 인프라: 3,389억 원(+213.8%) 에너지소재: -540억 원(적자 지속) 철강 부문 계절적 비수기와 글로벌 경기 둔화로 판매량 소폭 감소(4Q24 846.5만 톤 → 1Q25 836.3만 톤) 철강 스프레드 개선 및 4분기 기저효과로 이익 증가 예상 인건비 일회성 비용 ..

POSCO홀딩스 - 어려움 속에도 기대는 있

2025.03.28/삼성증권/백재승, 임지영1분기 실적 및 시장 기대치 하회 POSCO홀딩스의 1Q25 매출은 17.6조 원으로 전분기 대비 1% 감소. 영업이익은 5,454억 원으로 개선되었으나 컨센서스를 13% 하회. 철강 및 2차전지 시장의 본격적인 회복이 나타나지 않음. 미국 정부의 자동차 수입 관세 부과 결정으로 철강 수요 회복 지연 가능성. 미국 철강 관세와 가격 상승 미국이 수입 철강에 25% 관세 부과 결정 → 미국 내 철강 가격 25% 이상 상승. 한국 철강사들의 수출 경쟁력 단기적으로 유지 가능. 한국 내수 철강 가격 상승 가능성 존재. 반덤핑 관세 및 철강 가격 상승 전망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이후 수입산 후판 가격 9% 상승. 중국·일본산 열연 반덤핑 관..

POSCO홀딩스 - 철강, 긍정적 요인 감지 vs 에너지소재, 시간 필요

2025.03.26/유안타증권/이현수중국 철강산업 변화 및 국내외 시장 상황 중국이 2025년부터 적극적인 철강 공급 억제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 있음. 3/13 중국 NDRC 발표에서 철강 생산량 조절 및 산업 축소·재편 언급. 국내에서는 중국산 후판 반덤핑 예비판정, 중국·일본산 열연에 대한 예비조사 진행 중. 미국 수출 시 25% 관세 부과되었으나, 캐나다·멕시코·EU·일본도 동일한 조건. 물량 쿼터 해제로 가격 경쟁력 유지 시 수출량 증가 가능성 있음. 미래 성장 투자 신중 필요 2011년~2024년까지 영업외손익 중 기타영업외손익에서 지속적인 손실 발생. 주요 원인은 투자 자산의 손상차손 및 처분손실로 추정. 철강산업의 ESG 전환(수소환원제철 등) 투자 필요성 증가. 에너지소재..

POSCO 홀딩스 - 성장통

2025.01.07/신한투자증권/박광래, 한승훈 1. 4Q24 실적 전망      - 매출액: 18.4조 원 (QoQ +0.6%).      - 영업이익: 5,182억 원 (QoQ -30.3%, 컨센서스 7,640억 원 하회).      - 순이익: 1,065억 원 (QoQ -76.5%, 순이익률 0.6%).      - 실적 부진 원인:        1) 일부 설비 폐쇄 및 구조조정 비용 반영 (영업외 비용).        2) 탄소강 판가 하락 → 스프레드 악화.        3) 임단협 관련 일회성 인건비 증가.      - 부문별 전망:        - 철강 부문: 판매량 847만 톤(+2.8% QoQ), 영업이익 3,960억 원(-15.0% QoQ).        - 친환경 인프라 부문: 영업이..

POSCO홀딩스 - 포스코아르헨티나 탐방기;Sal de Oro(황금소금)에 대한 확신

2024.12.06/대신증권/이태환 1. 아르헨티나 시장 환경   -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집권 이후, 환율 안정, 물가 안정, 투자 유치 정책(RIGI 프로그램) 도입.   - 리튬 산업에서 민간 기업의 100% 지분 투자 가능, 내수∙수출 자유 허용.   - 연방제 시스템으로 주정부의 리튬 자원 소유권 강화, 연방정부 주도의 국유화 가능성 낮음.   2. 포스코아르헨티나의 리튬 사업   - 고난도 환경(해발 4,000m 안데스 고지대)에서도 CP1(상공정) 가동 및 상업 생산 시작.   - CP1: 저장 폰드를 통해 리튬 농도 상승 → 정제 플랜트에서 불순물 제거 → 중간 단계 인산리튬 생산.   - CP2(2025년 준공 예정): 탄산리튬까지 정제 후 한국 광양 플랜트로 운송 → 수산화리튬 변환...

POSCO 홀딩스 - 선물 뿐만 아니라 포장도 중요해지는 시점

2024.10.31/신한투자증권/박광래, 한승훈 1. 실적 바닥 확인, 밸류업 기대감 하락    - 인도 JSW 그룹과의 협력 (총 5조 원 투자) 계획은 장기적으로 검토 가치가 있으나, 현재 주주환원 기대치는 낮아질 것으로 전망. 2. 3분기 실적 검토 (3Q24 Review)    - 영업이익 7,430억 원(-1.2% QoQ)으로 컨센서스 하회.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부문 부진.    - 철강: 주요설비 수리 종료로 판매량은 회복했으나, 탄소강 판매가격 하락으로 영업이익 감소.    - 포스코인터내셔널: 발전소 전력 판매 및 LNG터미널 실적 정산 효과로 기대치 상회.    - 포스코이앤씨: 매출 감소에도 유휴부지 매각 효과로 영업이익 증가. 3. 4분기 전망    - 철강 부문 판매량 증가와 투입..

POSCO홀딩스 - 조금씩 보이는 회복에 대한 희망

2024.10.17/하나증권리서치센터/박성봉 1. 3분기 실적 전망      POSCO홀딩스의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18.7조원(YoY -1.5%, QoQ +0.9%), 영업이익은 7,993억원(YoY -33.2%, QoQ +6.3%)으로 시장 컨센서스(8,351억원) 하회 전망. 2. 철강 부문 개선      고로 개수 및 압연 라인 수리 완료로 제품 판매량 840만 톤(YoY +1.2%, QoQ +7.8%) 예상. 탄소강 ASP 하락 및 원재료 투입단가도 비슷하게 하락. 3. 국내 자회사 실적 악화      해외 철강 자회사 수익성은 개선, 국내 자회사의 이익은 축소 전망. 특히 리튬 및 2차 전지 소재 자회사 적자 확대 예상. 4. 4분기 전망      4분기 판매량 849만 톤(YoY -1...

POSCO 홀딩스 - 업황 바닥의 끝자락 즈음에

2024.10.15/유진투자증권/이유진 1. 3Q24 실적 전망      연결 매출액 18.7조 원, 영업이익 8,515억 원(OPM 4.6%)으로 전망.      원재료 가격 하락에도 ASP 하락이 커 판매량 증가(41만 톤)에도 POSCO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83억 원 증가한 4,567억 원 예상.      중복 상장 자회사 중 포스코인터내셔널 제외, 대부분 실적 부진.      리튬 자회사들의 초기 가동으로 친환경 미래 소재 부문에서 적자 예상. 2. 중국 철강 업황 & 이차전지 시황 개선 기대      중국의 금리 인하 및 부양책으로 철강주 주가 강세.      에너지 설비 효율 규제와 설비 교체 금지 정책으로 공급 확대 불가능.      추가 부양책 발표 시 인프라 투자 확대, 중국산 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