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피부미용/코스맥스 11

코스맥스 - 변함없는 호황

2025.04.15/키움증권/조소정1분기 실적 예상코스맥스 1분기 매출 5,741억원(+9% YoY), 영업이익 463억원(+2% YoY, OPM 8.1%)으로 예상.국내 법인은 성장이 견조하나, 미국 법인은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국내 성장은 견조국내 법인 매출 3,654억원(+16% YoY), 영업이익 372억원(+24% YoY, OPM 10.2%) 전망.고객사들의 일본, 유럽, 미국 수출 증가 덕분.중국 법인중국 법인 매출은 1,521억원(-3% YoY)으로 예상.상하이는 소비 경기 회복으로 수주 증가, 광저우는 잇센 JV 법인 성장에 힘입어 매출 증가.동남아 법인동남아 법인 매출 486억원(+45% YoY) 예상.태국 법인 매출은 120% 성장, 인도네시아는 15% 성장.미국 법인 부진미국 법..

코스맥스 - 견조한 국내와 동남아,기다림의 중국과 미국

2025.04.07/대신증권/정한솔투자의견 및 목표주가투자의견: BUY 유지목표주가: 210,000원 유지이유: K뷰티 글로벌 확산에 따른 견조한 수주 지속 국내 CAPA 확대 및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 동남아 법인 이익 기여 확대 국내 실적 전망CAPA(생산능력): 2024년 말 기준: 연간 7.8억 개 2025년 말까지: 10억 개까지 증설 예정 제품군 강화: 썬(선케어) 제품 강화로 안정적인 실적 기대 국내 고객 다변화: Top10 고객사 비중 50%대로 다양화 1Q25 국내 실적: 매출: 3,627억원 (YoY +15%) 영업이익: 356억원 (YoY +18%, OPM 9.8%) 수출 중심 고객사 수주 강세 및 레버리지 효과 해외 실적 전망중국매출 정체: 1Q25 매출 ..

코스맥스 - 코스맥스가 화장품 섹터를 살렸다

2025.03.04/유안타증권/이승은 1. 2024년 4분기 실적 요약   - 매출액 5,580억 원(+28% YoY), 영업이익 398억 원(+77% YoY) 기록.   -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383억 원) 부합.   - 한국 법인 영업이익률 10%(+3%p YoY) 상승.   - 고정비 감소, 고마진 메이크업 제품 판매 호조, 인디 브랜드 대상 고마진 정책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   2.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20,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는 12M FWD EPS × PER 20배 적용.   - 최근 화장품 업종 주가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 인디 브랜드 비중 확대     - 간접 수출 증가, MOQ(최소주문수량) 하향 및 맞춤 전략..

코스맥스 - 4Q24 Preview: 컨센서스 상회 전망

2025.01.13/하나증권리서치센터/박은정, 김다혜 1. 4Q24 실적:      - 매출액: 5,200억 원 (+19% YoY).      - 영업이익: 387억 원 (+72% YoY, 영업이익률 7%).      - 기대: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 2. 국내 실적:      - 매출액: 3,200억 원 (+30% YoY).      - 영업이익: 306억 원 (+75% YoY, 영업이익률 10%).      - 주요 고객사의 물량 증가 및 신규 고객사 유입에 따른 고성장.      - 수출 중심으로 물량 증가 및 생산 능력 30% 확대로 수요 충족. 3. 중국 실적:      - 매출액: 1,400억 원 (-4% YoY).      - 영업이익: 60억 원 (흑자전환).      - 소비 위..

코스맥스 - Corporate Day 후기: 성장세 피크 없다

2024.12.02/유안타증권/이승은 1. 한국 법인      - 4분기에도 수주 상태 안정적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 예상)      - 2025년에도 약 15-20% 성장 목표   2. 중국 법인      - 상하이: 4분기 매출 약 15-20% 역성장 예상, 광군절 영향      - 광저우: 역성장 둔화 예상      - 2025년: 비용 절감 및 구조조정 효과로 회복 가능성   3. 미국 법인      - 4분기 역성장 지속      - 2025년 상반기: 큰 변화 없음      - 2025년 하반기: 수주 매출화로 성장세 회복 가능   4. 동남아시아 법인      - 4분기 강한 성장세 지속      - 인도네시아: 매출 성장 +25%, 태국: +40%      - 높은 마진으로 수익성..

코스맥스 - 지금 사도 무난한 이유

2024.11.12/신한투자증권/박현진, 주지은 1. 회복 가능성에 집중      - 최근 3개월 동안 미국과 중국 법인의 실적 우려로 주가 부진했으나, 미국과 중국의 경기 부양 가능성에 따라 투자 심리가 개선될 여지가 있음.      - 유사 기업 대비 주가 괴리가 줄어들 가능성 존재. 2. 3분기 실적 리뷰 - 지역별 성과      - 3분기 연결매출 5,298억원, 영업이익 4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 30% 성장, 당사 추정치와 부합.      - 한국(21%), 인도네시아(38%), 태국(70%) 법인 매출 고성장, 미국(-12%)과 중국(-8%)은 부진.      - 소비 경기 악화로 미국과 중국의 고객사 주문 지연 발생.      - 원가율 안정적으로 유지, 대손상각비 감소로..

코스맥스 - 빛과 그림자가 공존하는 실적

2024.10.30/유안타증권/이승은 1. 3분기 실적 전망      - 매출액 5,140억 원, 영업이익 450억 원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    - 2분기에 발생했던 대손상각 일부 환입으로 영업이익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기대손실률은 2분기 18%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 2. K-Beauty 성장 및 국내 시장 상황      - 인디 브랜드 성장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국내 K-Beauty 수출 호조와 중소형 브랜드의 활발한 해외 진출로 꾸준한 성장 예상.    - 국내 Top 10 고객사의 꾸준한 수주, 수출 물량 확대, SKU 증가, 뷰티 디바이스 판매 호조로 전년 대비 25% 매출 성장률 전망.    - 뷰티 디바이스 시장 성장에 따..

코스맥스 - 지나친 걱정

2024.10.24/대신증권/정한솔 1.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80,000원 제시. 12MF EPS 10,022원에 Target PER 18배 적용.     국내 화장품 ODM 업계 호황으로 국내법인 매출 고성장은 긍정적이나, 대손충당금 리스크와 중국 및 미국 법인 부진으로 Target PER은 글로벌 Peer 12MF 평균 P/E 20배 대비 20% 할인 적용. 2. 2025년 해외법인 영업환경 전망      K-뷰티의 글로벌 침투율 확대에 따라 국내법인 실적 호조 지속 기대. 중국 경기부양책으로 화장품 소비 개선이 확실하지 않지만, 가격 부담이 적은 로컬 인디브랜드 수요 회복 기대.     미국 법인은 오하이오 공장 철수 후 ODM 중심 생산으로 수익성 개선 ..

코스맥스 - 중국 경기 부양 수혜 기대

2024.09.27/신한투자증권/박현진, 주지은 1. 투자심리 개선, 주가 괴리 좁힐 기회   중국 법인 실적 우려로 주가 부진. 중국의 경기부양책 발표로 실적 개선 가능성이 상승, 유사 기업과의 주가 격차 좁힐 기회 2. 3Q24 Preview: 한국 중심 고성장, 중국과 미국은 보수적   3Q24 연결매출 5,374억 원(+17%), 영업이익 438억 원(+31%) 예상. 한국법인 21% 성장, 중국과 미국은 한 자리 역성장 예상 3. 대손충당금 발생 예상, 그러나 실적 하락은 제한적   미국과 한국의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반영으로 3Q24에도 일부 고객사에서 충당금 발생 예상. 하지만 하반기부터 비용 부담 완화 기대 4. Valuation & Risk   2024년 이익 추정치는 소폭 하향되었으나, ..

코스맥스 - 3Q24 Preview: 국내 수주 강세 VS 중국 부진 심화

2024.09.23/하나증권리서치센터/박은정 1. 3분기 실적 전망      - 연결 매출 5,300억 원(YoY +15%), 영업이익 449억 원(YoY +35%) 예상.      - 중국 소비 부진으로 실적 저조, 하지만 국내는 K뷰티 글로벌 확대에 힘입어 강세.     2. 법인별 실적 전망      - 국내: 매출 3,500억 원(YoY +23%), 영업이익 425억 원(YoY +65%). K뷰티 수출 주도.    - 중국: 매출 1,000억 원(YoY -12%), 영업손실 30억 원.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으로 부진.    - 미국: 매출 376억 원(YoY +2%), 영업손실 20억 원. 신규 고객 유입 약세.    - 동남아(인도네시아+태국): 매출 409억 원(YoY +37%), 영업이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