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료/삼양식품 27

삼양식품 - 관세도 날 막지 못 해

2025.04.24/유진투자증권/김진우1Q25 실적 전망 매출액: 4,971억 원 (+4% QoQ, +29% YoY) 영업이익: 1,067억 원 (+22% QoQ, +33% YoY) 매출액은 컨센서스 부합, 영업이익은 소폭 상회 전망 우호적 환율과 높은 설비 가동률 덕분에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가능 면류 변동비 마진은 +12% YoY로 증가 추세관세 리스크에 대한 영향 미미 7월 이후 25% 상호관세가 연중 지속되어도→ 2025년 연간 영업이익은 무관세 시나리오 대비 -3.8% 수준에 불과 이는 ‘불닭’ 제품의 브랜드 경쟁력과 글로벌 수요로 극복 가능밀양 2공장 진척 상황 준공 지연 가능성 낮아짐 (세부공정 진척도 기준) 만일 지연돼도 2~3주 내외로 단기 이슈에 불과 일부 설비는 이미..

삼양식품 - 다가오는 증설의 시기

2025.04.22/대신증권/정한솔1)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투자의견 BUY(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대비 +33% 상향된 1,200,000원 제시. Target PER을 기존 18배(일본 라면 peer 평균)에서 22배(2021~2022년 일본 peer 평균)로 상향 조정. 현재 주가는 12MF P/E 18배 수준으로 일부 밸류에이션 부담 존재. 하지만 브랜드력과 CAPA 증설 효과를 감안할 때 구조적 성장 구간 진입 기대. 2) 증설 계획 및 성장 전략2025년 7월 밀양 2공장 가동 예정, 생산 CAPA는 18억개 → 25억개로 확대. 초기 가동률 50%만 적용해도 연 생산금액 1,000억 원 이상 확보 가능. 초과 수요 지속되는 가운데 지역·채널 확장을 통해 수출 성장세 유지 전망..

삼양식품 - 황제주 등극 초읽기

2025.04.21/신한투자증권/조상훈, 김태훈관세 우려보다 수출 모멘텀이 더 중요 미국의 관세 부과 우려로 주가 상승세가 주춤했지만,달러 강세, 높은 매출총이익률(43.3%), 낮은 가격 민감도,강한 브랜드 파워를 고려할 때 관세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단기/장기 외형 성장 모멘텀 단기: 5월 말 밀양 2공장 가동 시작 (생산능력 +39%) 장기: 2027년 1월 중국 공장 가동 (생산능력 +32%) 국내 시장 한계 속에서 수출을 통한 외형 성장 기대1분기 실적 프리뷰 – 기대치 충족 전망 매출 5,007억 원(+29.8% YoY), 영업이익 1,067억 원(+33.1% YoY) 수출 증가, 지역 믹스 개선, 투입 원가 하락의 효과 수출이 전체 매출의 82% 차지 (+41.4% YoY) ..

삼양식품 - 1Q25 Preview: 수출이 이끈 독보적 성장

2025.04.15/유안타증권/손현정1분기 실적 전망 긍정적 매출 5,034억 원(YoY +30.5%), 영업이익 1,053억 원(YoY +31.4%, OPM 20.9%)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수출 비중 81.6%로 YoY +42.1% 고성장 예상. 내수 매출은 927억 원(YoY -4.3%)으로 역성장하지만 영향은 제한적.수출 호조, 미국·중국 중심 분기 수출 4,000억 원 돌파 예상. 미국, 중국 중심 강한 성장세 지속.밀양 신공장 5월 시가동 4분기 집중 광고비 집행 종료로 1분기 영업이익률 전분기 대비 +2.6%p 개선. 밀양2공장은 예정대로 5월부터 시가동, 3분기부터 생산 증가 → 수출 성장 기대. 외형 + 수익성 동반 성장 구조 구축.목표주가 1,100,000원 유지 25..

삼양식품 - 숨 고르기는 끝났다

2025.04.01/IBK투자증권/김태현1Q25 실적 전망: 매출액 4,845억 원(+25.6% YoY), 영업이익 981억 원(+22.5% YoY) 예상 기존 추정치 대비 2~3% 상향 조정, 컨센서스에 부합 원맥 공급 단가는 전년과 유사, 원가 부담 제한적 수출 관련 비용 증가로 매출원가율 58.3%(+0.7%p YoY) 전망 해외 실적 성장 및 점유율 상승: 면·스낵 수출 3,821억 원(+33.6% YoY) 예상 원·달러 환율 1,454원(+9.2% YoY) 중국 라면 수출 1~2월 누계 5,024만 달러(+117.6% YoY) 미국 라면 수출 3,892만 달러(+22.7% YoY) 월마트에서 라면 매출 2위, 네덜란드 라면 판매 1위 밀양 2공장 준공 기대: 미국·유럽 지역..

삼양식품 - 불닭의 질주, 황제주로 가는 길

2025.03.11/유안타증권/손현정 1. 불닭 브랜드의 메가 브랜드 도약      - 삼양식품은 ‘불닭’ 브랜드를 라면에서 소스, 스낵, 간편식 등으로 확장.      - 2025년부터 매년 2~3개 신제품 출시하여 브랜드 판매량 10배 확대 계획.      - 불닭볶음면의 ASP가 경쟁 제품 대비 30% 높아 프리미엄 전략 유지.      - 제품 다각화를 통해 중장기적 수익성 확대 기대.   2. CAPA 증설을 통한 글로벌 확장 가속화      - 미국 월마트 메인 식품 섹션 입점 → 일반 소비층 공략 본격화.      - 글로벌 수요 증가 대응 위해 밀양 2공장 및 중국 공장 증설 추진.      - 밀양 2공장 가동 시 생산능력 2025년 21.8억 개 → 2026년 26.2억 개.      ..

삼양식품 - 순항 중

2025.02.06/유진투자증권/김진우 1.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931,000원으로 동일하게 유지했다. 2. 4Q24 실적 요약   잠정 매출액은 4,808억원(+10% QoQ, +47% YoY), 영업이익은 873억원(+0% QoQ, +141% YoY)으로 예상 수준의 실적을 기록했다. 3. 실적 성장 요인   해외 전 법인에서의 플러스 성장이 실적을 견인했으며, 면스낵 매출은 해외 +72% YoY, 국내 -15% YoY로 추정된다. 4. 영업이익률 변동   3분기 대비 영업이익률 하락은 ‘스플래시 불닭’ 캠페인 관련 일회성 마케팅 비용 영향으로, 우려할 만한 사항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5. SKU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   SKU 효율화 작업을 통해 근로..

삼양식품 - 성장성 재확인

2025.02.06/대신증권/정한솔 1. 투자 의견 및 목표 주가      - 투자의견: BUY(매수)      - 목표 주가: 900,000원 유지      - 업종 내 Top-Pick으로 유지, 높은 해외 성장성으로 투자 매력도 지속   2. CAPA(생산능력) 확대      - 2025년 5월: 2공장 완공 시 CAPA가 기존 18억 개 → 25억 개로 확대      - 하반기 이후 기대 효과:        1) 고ASP(높은 평균판매가격) 제품의 북미/유럽 공급 확대        2) 현지 맞춤형 신제품 출시로 실적 모멘텀 강화   3. 마케팅 전략 및 비용      - 2025년 광고비 증가 예상, 불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 마케팅 투자      - 마케팅 비용이 하반기에 집중되는 경향으로..

삼양식품 - 이런 실적에도 안 삼양?

2025.01.16/교보증권 1. 4Q24 Preview: 공급 부족과 원화 약세 수혜      - 요약:        4분기 매출액 4,729억 원(전년 대비 +45%), 영업이익 899억 원(+149%), OPM 19% 추정.   미국에서 타깃/크로거 입점 후 초기 물량 소진, 월마트 매대 변화로 수요 증가. 에스닉/캐나다/멕시코는 현재 생산 캐파 부족. 환율 우호적이며, 마케팅 비용 증가 예상되나 영업일수 증가로 상쇄 가능.   2. 2025 Preview: 밀양 2공장 가동률 상승      - 요약:        2025년 매출 2.3조 원(전년 대비 +33%), 영업이익 4.7천억 원(+35%) 예상. 밀양 2공장은 미국/유럽 수요 대응, 3Q25 봉지면 Full CAPA, 4Q25 용기면 Fu..

삼양식품 - 더 큼 시장 잡으러 간다

2024.12.23/한화투자증권/한유정, 이다연 1. 해외 첫 생산 공장 설립 결정      - 2019년 12월 밀양 1공장, 2023년 9월 밀양 2공장 투자에 이어 2024년 12월 해외 첫 생산 공장 설립 결정.      - 밀양 2공장 투자 결정 후 1년 3개월 만에 이루어진 빠른 확장.      - 단순 증설 효과 외에 시장 상황과 전략 분석 기반의 장기적인 방향성 강화.   2. 중국 현지 공장 설립의 의도와 기대 효과      - 중국 시장 분석:        1) 상위 3개 업체 점유율 51.1%로 파편화된 시장.        2) ‘매운맛 볶음면’이 카테고리로 자리 잡으며, 비국물면 시장 성장률 > 국물면 시장 성장률.        3) 삼양식품은 기존에 중국 시장 전용 제품 개발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