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27

LG에너지솔루션 - 2Q25 실적 부진 이후 하반기 회복세 전망

2025.05.02/iM증권/정원석, 손우성1Q25 호실적 기록매출 6.3조원(+2% YoY), 영업이익 3,750억원(+138% YoY)으로 시장 예상치 대폭 상회 (AMPC 약 4,557억원 포함).주요 요인:① 원-달러 환율 효과,② GM 재고조정 폭이 작음,③ Tesla 신차 출시에 따른 원형전지 출하량 증가(+11%),④ 일회성 이익(약 1,000억원 후반 추정) 및 내부 비용 절감.유럽 전기차 시장 회복 부진유럽 내 전기차 판매량은 반등했으나 재고 과잉, 중국 업체 경쟁 등으로 의미 있는 수요 회복은 제한적.미국 시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2Q25 실적 둔화 전망매출 5.5조원(-11% YoY), 영업이익 2,950억원(+51% YoY) 예상.유럽향 출하량 급감, 점유율 하락(1Q25 약 2..

엘앤에프 - Tesla 신차 출시 효과에 따른 물량 증가 예상

2025.05.02/iM증권/정원석, 손우성1. 1Q25 재고자산평가손실 이어지며 대규모 적자 발생1Q25 실적은 매출 3,650억원(-43% YoY), 영업이익 -1,400억원으로 큰 폭의 적자.시장 예상(매출 3,924억원, 영업이익 -720억원)보다 크게 하회.원가율은 개선되고 있으나, 원재료 가격 하락 → 재고자산 평가손실 약 747억원 발생.양극재 출하량은 3Q24 저점 이후 회복세, 전분기 대비 4% 증가.LG에너지솔루션이 Tesla 모델Y 주니퍼에 신형 2170 배터리 셀(5,300mAh)을 공급 시작.NCM523 출하량은 유럽 내 점유율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13% 감소.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판가도 전분기 대비 6% 하락.2. 2Q25에도 적자 불가피하나 하반기 흑자전환 예상회사는 연..

자동차 - 3 월 중국 자동차 판매: NEV 중심으로 판매 호조 지속

2025.04.11/SK증권리서치센터/윤혁진, 박준형3월 소매판매 총 194.0만대 판매 (+14.8% YoY, +40.2% MoM) 내연기관차(ICE): -2.8%, 신에너지차(NEV): +38.8% NEV 침투율 51.1% 기록보조금 정책 효과 2024년 4월말부터 '이구환신' 보조금 정책 시행 노후차 폐기 후 NEV 구매 시 2만 위안 보조, 소형 내연차는 1.5만 위안 NEV 판매 호조 지속에 기여1분기 누적 판매량 전체 소매판매 +6.0% ICE -11.7%, NEV +36.8% 2025년 연간 전망: 총 2,340만대 (+2.2%), ICE 1,010만대 (-15.8%), NEV 1,330만대 (+22.0%)브랜드 점유율 변화 중국 브랜드: 122만대(+31%) → 점유율 6..

LG에너지솔루션 - 1Q25 잠정 실적 리뷰: 환율 영향, 일회성 보상금 및 AMPC 효과로 컨센서스 상회

2025.04.08/키움증권/권준수1Q25 실적 개요 매출: 6.3조원 (-3% QoQ, +2% YoY) 영업이익: 3,747억원 (흑자 전환 QoQ, +138% YoY) 영업이익 컨센서스 672억원 대비 큰 폭 상회 AMPC 효과 및 실질 영업이익 AMPC 효과: 4,577억원(약 9.0GWh, 환율 1,453원/달러 기준) AMPC 제외 실질 영업이익: -830억원(영업이익률 -1.3%) → 적자 북미향 전지 출하 감소폭 예상보다 작았고, 환율 효과 및 ESS 실적 양호북미향 출하량 및 AMPC 기여 확대 북미향 출하량: 7.7GWh → 9.0GWh (QoQ 증가) GM의 재고조정 지속 속 3월 관세 정책 발표 전 일시적 생산 증가 추정 Ultium Cells, 미시간 공장, Ste..

LG에너지솔루션 - 탄탄한 고객 포트폴리오 기반 성장세 전망

2025.04.02/iM증권/정원석자율주행이 전기차·배터리 산업 성장 견인 전기차 확산을 위해 완전자율주행이 핵심 부가가치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구현이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에서 효율적 자율주행 본격화 시 전통 완성차 OEM 도태 가능성 배터리 셀·소재 업체들도 주력 고객사 경쟁력 상실 시 리스크 증가 생존 가능성이 높은 기업과 협업 강화 필수 1Q25 실적 전망: 시장 기대치 상회 예상 매출액 6.0조 원(-2% YoY, -7% QoQ), 영업이익 1,630억 원(+4% YoY, 흑전 QoQ) 양호한 실적 요인:① 우호적 환율(원-달러)② 미국 주력 고객사향 배터리 수요 회복 & AMPC 효과③ 비상경영체제 통한 비용 절감 유럽 전기차 판매 반등에도 높은 재고 & 중국 업체 점유..

천보 - 충전속도 경쟁. LiFSI 채택률 증가에 주목

2025.03.31/미래에셋증권/김철중, 강민희목표가 46,000원으로 하향 조정 현재 국내 부품주 평균 목표가는 46,000원(하향 조정 후)이며, 이는 80,000원에서 26% 하락한 수준. EPS는 42% 하락 조정됨. 장기 수익 및 원가 상승으로 인해 하락 사이클이 예상됨. 주요 하락 요인: 1) 운송비 상승, 2) 매출채권의 회계적 조정, 3) F-하베스트 채권 관련 문제. BYD, Tesla 등 해외 주요 부품사의 매출 감소로 인해 26% 하락 예상. 장기적으로는 25년 P/E 1.0배로 회복 가능성 언급.1025 Preview: 매출은 기저 대비 다소 증가 1025년 예상 매출은 327억 원(3% YoY), 영업이익은 156억 원(40% YoY). 기저 성과 예상: 매출 감소, ..

이차전지/천보 2025.04.01

LG에너지솔루션 - 2분기, 반등의 시작

2025.03.28/한화투자증권/이용욱1Q25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매출액 5.9조 원, 영업이익 1,121억 원(AMPC 제외 시 2,426억 원 적자) 예상 환율(평균 1,450원)과 ESS 효과로 컨센서스(322억 원) 상회 전망 유럽 EV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공장 가동률 50%로 저조 유럽 내 중국 업체들의 M/S 확대 우려 2Q25부터 본격 반등 전망 매출액 7.0조 원, 영업이익 5,608억 원(AMPC 제외 시 253억 원 적자) 예상 Tesla 및 GM 중심으로 출하량 반등 기대 GM의 재고 소진으로 얼티엄셀즈 출하 QoQ +70~80% 증가 전망 Tesla 2170 배터리 3월 신규 납품 시작 → 2Q25 출하량 QoQ +20% 증가 예상 Tesla Mod..

LG에너지솔루션 - 위기에서 드러나는 포트폴리오의 힘

2025.03.13/미래에셋증권/김철중, 강민희 1.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유지      - LG에너지솔루션의 목표주가를 48만 원으로 유지.      - 1분기(1Q25)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매출액 +6%, 영업이익 +2,330억 원).      - 업황은 부진하지만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우위로 실적 견조 예상.      - 섹터 내 최선호주(탑픽) 의견 유지.   2. 1Q25 실적 전망: 예상보다 견조      - 1분기 매출액 6.2조 원(-4% QoQ), 영업이익 1,270억 원(흑자 전환) 예상.      - 실적 상향 이유:        1) 3월 중국 남경 원통형 배터리 출하 시작(테슬라 모델 Y용).        2) 유럽 전기차 수요 예상보다 견조(폭스바겐 중심).       ..

Memory Watch - 난야와 윈본드의 주가 급등

2025.02.17/유진투자증권/이승우, 이주형 1. 주간 주가 변동      - 지수 상승: 나스닥 +2.6%, S&P500 +1.5%, SOX +3.0%      - 주요 종목 등락:        - 상승: 엔비디아 +6.9%, 브로드컴 +3.6%, ASML +4.2%, 애플 +7.5%, 난야 +12.2%, 윈본드 +19.5%        - 하락: 테슬라 -1.6%, AMAT -6.0%   2. 시스코(CSCO)      - 예상 상회 실적 발표      - AI 인프라 투자 증가 → 연간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      - 150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      - IB들의 목표주가(TP) 상향 → 주간 주가 +4.2%   3.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 실적 예상 상회, 그러나..

산업/반도체 2025.02.17

엘앤에프 - 상반기도 실적 부진 지속 전망

2025.02.06/키움증권/권준수 1. 4Q24 실적 리뷰 (Review)      - 매출액: 3,654억 원 (+4% QoQ, -44% YoY)      - 영업이익: -1,498억 원 (적자 지속, 시장 컨센서스 -1,023억 원 하회)      - 매출 증가 요인:        - Tesla 향 하이니켈 양극재 출하량 증가 (NCMA90 판매량 +12% QoQ)      - 매출 감소 요인:        - 미드니켈 제품 출하량 -10% 감소 (ESS 케미스트리 변화: NCM523 → LFP)      - 적자 확대 원인:        1) 메탈 가격 하락에 따른 역래깅 영향        2) 재고평가손실 476억 원 추가 인식        3) 가동률 하락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 증가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