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52

서진시스템 - 하나하나 찬찬히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2025.05.02/SK증권리서치센터/나승두요약 (번호별 정리)서진시스템 개요서진시스템은 다이캐스팅 공법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메탈 플랫폼 전문 업체로, 알루미늄·아연·마그네슘 등 특수 금속을 고압 주입해 정밀 부품을 생산. 2017년 상장 후 매출 7배, 자산 10배 성장하며 1조원 매출 클럽 가입.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ESS, 반도체, 전기차, AI 데이터센터, 우주항공 등으로 사업 다각화.다이캐스팅의 강점고정밀·내구성·효율성으로 Tesla의 기가캐스팅 등 전기차 차체 생산에 활용. 초기 투자 비용이 높아 진입 장벽 강력. 금형 기반으로 다양한 품목 생산 가능, 사업 확장성 뛰어남.ESS 사업부2024년 매출 6,360억원(전체 52%), 4년간 20배 성장. 배터리셀 제외 ESS 완제품 생산, 베트..

천보 - 신규 공장 관련 실적 증가 내년부터

2025.04.30/유진투자증권/한병화1. 1분기 실적 및 시장 기대치 부합1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349억원, 영업이익 19억원으로,컨센서스(매출 327억원, 영업이익 15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됨.**중국 전해액 업체들(매출 비중 30% 이상)**을 고객으로 확보해경쟁사 대비 부진 정도가 약한 편.2. 군산 F 전해질 공장 관련 전망하반기 완공 예정인 군산 F 전해질 공장의초기 수율 안정화 시점이 향후 실적에 핵심 요인으로 작용.군산 신공장의 설비 능력(디자인 캐파)은 1만톤,올해 2,500톤 완공 예정,내년에는 5,000톤까지 증설 예정.신공장의 주요 고객은 글로벌 전기차 OEM,가격 협상이 현재 진행 중.3. 경쟁 환경 및 투자 판단중국 업체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2027년부터 적용되는 ..

이차전지/천보 2025.05.02

삼성SDI - 유럽 EV 수요 반등에도 1Q25 실적 부진 예상

2025.04.02/iM증권/정원석자율주행이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을 견인자율주행 시대 도래 → 자동차 전동화 가속화전기차 확산을 위해 친환경성·경제성 외 차별화된 부가가치(완전자율주행) 필요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구현이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에서 효율적자율주행이 완성차 OEM과 배터리 업체에 미치는 영향기술력이 부족한 전통 OEM 도태 가능성배터리 셀·소재 업체도 리스크 증가 (주요 고객사가 경쟁력을 잃으면 장기 계약 무의미)배터리 업체는 고객 포트폴리오 점검 및 협업 강화 필수1Q25 실적 시장 기대치 하회 전망매출액 2.7조 원(-47% YoY, -27% QoQ), 영업이익 -4,570억 원(적자 전환)미국 SPE 공장 가동 → AMPC 효과 본격화, 그러나 1분기 신차 판매 둔화 & 고정비 ..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

2025.03.19/키움증권전고체 전지 개요전고체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한 배터리로, 구조는 유사하나 발화 위험이 낮고 안정성이 높음. 또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어려웠던 리튬금속 음극 적용이 가능.전고체 전지의 장점 화재 위험 감소: 고체 전해질 사용으로 발화 위험 원천 차단 온도 변화 대응: -40℃~100℃ 환경에서도 안정적 성능 유지 에너지 밀도 향상: 기존 255Wh/kg → 전고체 전지 500Wh/kg 가능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 효과.전고체 전지의 단점 및 상용화 장애 요인 낮은 이온전도도: 액체 전해질 대비 리튬 이온 이동 속도 저하 높은 계면저항: 전극-전해질 간 접촉면 형성이 어려워 성능 저하 경제성 문제: 제조 비용이 높아..

해성디에스 - DDR5 용 Pkg. Substrate 성공 여부가 관건

2025.03.05/iM증권/송명섭, 손우성 1. 기업 개요      - 반도체 패키징 기판(Pkg. Substrate)과 리드프레임(Lead Frame) 제조업체      - DDR5용 Pkg. Substrate 시장 진입 여부가 핵심 변수      - 주력 사업: 리드프레임(자동차, IT), 반도체 패키징 기판   2. 2025년 실적 전망      - 매출액: 6,322억 원 (+5% YoY)      - 영업이익: 709억 원 (+25% YoY)      - 목표주가: 36,500원 (하향 조정)      - 주요 리스크: DDR5 패키징 기판 공급 일정 불확실성   3. DDR5 패키징 기판 시장 진입 여부      - 2023년 DDR5용 Pkg. Substrate 시장 진입 실패 → 실적 둔..

명신산업 - 2Q 신차 모멘텀 기대

2025.02.19/대신증권/김귀연 1. 주가 하락:    - 2/18일, 명신산업 주가 -11.3% 하락 (모회사 엠에스오토텍 계열사 실적 부진에 따른 자금 지원 우려).    - 명신산업은 계열사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 계획 없음. 2. ㈜명신 상황:    - ㈜명신 실적 부진 (2023년 매출 1,752억 원, YoY -20%, OP -373억, NP -535억, 누적 결손금 -838억).    - GM 군산공장 인수 후 전기차 생산 계획 철회로 지속된 적자.    - MS오토텍은 공장 부지 매각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센터 사업으로 수익성 정상화 계획 중. 3. 명신산업의 전망:    - 2Q25 북미 BEV 선도업체의 SUV 모델 물량 증가 기대.    - 현재 저평가 상태 (2025년 PER 4...

이녹스첨단소재 - 상반기 실적 맑음, 모멘텀도 대기

2025.02.06/SK증권리서치센터/권민규 1. 4Q24 실적 리뷰 (Review)      - 매출액: 1,042억 원 (+25% YoY)      - 영업이익: 250억 원 (+1,114% YoY)      -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924억 원), 영업이익(141억 원) 상회      - 실적 호조 배경:        1) 높은 환율 유지        2) 갤럭시 S25 출시 효과        3) QD-OLED 모니터 수요 성장        4) 고부가 중심 믹스 개선        5) 신규 제품 샘플 매출 기여      - 추가 긍정 요인: WOLED 출하량 견조   2. 1Q25 및 2025년 전망 (Preview)      - 1Q25 예상 실적:        - 매출액: 1,140억 원 ..

HS 효성첨단소재 - 우려 대비 선방한 실적

2025.02.05/신한투자증권/이진명, 김명주 1. 불황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 유지      - 글로벌 PET 타이어코드 1위 업체로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실적 달성      - Top-tier 고객사 및 전기차향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수익성 개선 지속      - 탄소섬유는 상반기 저점 후 점진적 업황 회복 예상, 신공장 가동으로 연간 흑자전환 기대   2. 4Q24 실적: 컨센서스 상회      - 영업이익 460억 원(+4% QoQ), 컨센서스(419억 원) 상회      - 타이어보강재: 영업이익 513억 원(+1% QoQ)        - 비수기에도 윈터 타이어 수요 호조 및 Top-tier 판매 비중 증가        - PET 타이어코드 수출가격 2% 상승, 믹스 개선 효과로 수익성 상..

삼화콘덴서 - 긴 재고 조정의 터널을 지나는 중

2025.02.03/미래에셋증권/박준서 1. 4Q24 실적 예상      - 매출액 672억 원(+6.1% YoY), 영업적자 8억 원(적자 지속) 예상      - 원인: ① 전기차 수요 둔화, ② 계절적 재고 조정 지속      - 전방 고객사의 재고 관리 보수적 → 1H25까지 역성장 예상      - 주요 고객사 수주 잔고 성장 둔화   2. 25년 실적 전망      - 매출액 2,737억 원(+1.7% YoY), 영업이익 204억 원(+8.3% YoY) 예상      - DC-LINK 수주 건(1,800만 대 규모) 매출 인식 지연      - FC(Film Capacitor) 408억 원(+5.3% YoY) 전망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로 견조한 성장)   3. 전장 회복 지연 & FC 성장..

엘앤에프 -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2025.01.15/교보증권/최보영 1. 4Q24 실적 전망      - 매출: 3,529억 원 (YoY –46.3%, QoQ +0.4%).      - 영업적자: -1,161억 원 (컨센서스 매출 3,912억 원, 영업적자 -942억 원 소폭 하회).      - 요인: 전방시장 불확실성으로 고객사 투자 지연 및 NCM523 제품 출하 부진 지속.      - NCMA90 제품: 출하량 예상 대비 +10%로 급증.      - 원자재 가격: QoQ -4% 하락, 재고자산평가손실 반영 전망.   2. 2025년 실적 전망      - 매출: 2조 3,573억 원 (YoY +24.4%).      - 영업이익: 307억 원 (YoY 흑자전환, OPM +1.3%).      - 1Q25까지는 신제품 효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