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피부미용/에이피알 25

에이피알 - 해외 매출 사상 최대

2025.04.09/하나증권리서치센터/박은정, 김다혜1Q25 실적 예상: 컨센서스 상회매출 2,387억 원(+60% YoY), 영업이익 455억 원(+64% YoY, OPM 19%)컨센서스 영업이익(390억 원)을 크게 상회할 전망미국·일본 시장 확대, B2B 부문 호조 영향디바이스 부문: 부스터프로, 미니 중심 고성장기기 판매량 50만대 이상, YoY +80% 성장 전망해외 매출 사상 최대해외 매출 1,600억 원(+147% YoY)1) 미국: 710억 원(+187%), 화장품 +320%, 기기 +80%2) 일본: 200억 원(+103%), 역직구 플랫폼이 80% 기여3) B2B 부문: 444억 원(+800%), 유럽·중동 등 수출 확대해외 확장 전략 본격화글로벌 이커머스 전략이 효과를 내고 있으며, ..

에이피알 - 주가 하락은 기회

2025.04.08/SK증권리서치센터/박찬솔에이피알은 화장품·미용 디바이스 업체로, 특히 기초 화장품과 디바이스에 강점을 가진다. 4Q24 해외 수출 급성장: 미국 +130.8%, 일본 +124%, 홍콩 +143.5%, 기타 +69.9%, B2B(글로벌) +1,150% 본격적인 해외 성장은 4Q24부터 시작되었으며, 올해 말까지도 지속될 전망이다.주가 하락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성장률 둔화 우려: 미국 관세, 글로벌 경기 둔화 멀티플 고평가 논란: 화장품 비중 확대 시 디바이스 중심 멀티플 적용 어려움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 화장품은 필수소비재이며, 가격 경쟁력도 갖춤 유통 채널 협력 상태도 양호, 판매량 둔화 조짐 없음디바이스 부문도 지속 강화 예정: 올해 2분기 말부..

에이피알 - 매수 기회

2025.04.03/미래에셋증권/배송이1Q25 실적 예상 매출액 2,312억 원(YoY +55%), 영업이익 451억 원(YoY +62%) 전망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가능성 높음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천억 원 목표 유지 B2B 비즈니스 확대 기대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률(OPM) 19.5% 전망 B2B 비즈니스 성장이 실적 견인 미국 시장 성장 563억 원 매출(YoY +127%), 7개 분기 연속 배송 성장 아마존 경쟁 심화에도 본격적인 아마존 확장 시작 1Q24 대비 4Q24 물류 창고 60% 확대 일본 시장 성장 182억 원 매출(YoY +85%), 온라인 채널 성장 지속 400개 매장 입점 완료 예상 B2B 시장 성장 459억 원 매출(YoY +829%, QoQ ..

에이피알 - 강력한 해외 성장 모멘텀

2025.04.02/키움증권/조소정1분기 실적 전망매출 2,233억 원(+50% YoY), 영업이익 406억 원(+27% YoY)으로 시장 기대치 상회 국내 사업매출 807억 원(-2.5% YoY), 뷰티 사업은 유지되나 의류 사업 축소로 전체 매출 감소 해외 사업매출 1,426억 원(+116% YoY), 미국(+154%), 글로벌 B2B(+146%), 일본(+116%)에서 강한 성장 미국아마존 채널에서 제로모공패드, PDRN 앰플, 클렌징 오일 판매 증가 글로벌 B2B유럽·아시아 90개국 이상으로 확장 중 일본큐텐 등 온라인과 돈키호테 등 오프라인 채널 확장 효과 연간 목표매출 1조 원(+39% YoY), 영업이익 1,7001,800억 원(+3947% YoY) 목표주가 조정강한 성장 모멘텀..

에이피알 - 1Q25 Preview: 1분기 예상보다 더 강하다

2025.03.27/유안타증권/이승은2025년 1분기 실적 전망 매출액 2,250억 원(+51% YoY), 영업이익 410억 원(+48% YoY) 예상. 시장 기대치(매출액 2,130억 원, 영업이익 372억 원) 상회 전망. 아마존 Big Spring Sale 성과 메디큐브,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 1위·5위 달성(브랜드 최초). 작년 블랙 프라이데이보다 향상된 성과로 글로벌 경쟁력 입증. 스킨케어 Top 50에 6개 제품 진입, PDRN·딥 비타 C 라인 성장세. 단기 주가 모멘텀 아마존 판매 성과로 실적 개선 기대감 상승, 주가에 긍정적 영향. 미국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확대 → 글로벌 매출 비중 증가. 2분기 실적 발표 전까지 기대감 반영 가능. 중장기 투자 포인트: B2B 채..

에이피알 - 만약 온라인이, 화장품이 시작일 뿐이라면요?

2025.03.26/한화투자증권/한유정2025년 1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전망 매출액 2,334억 원(+56.7% YoY, -4.4% QoQ), 영업이익 419억 원(+50.9% YoY, +5.6% QoQ) 예상. 컨센서스 영업이익 355억 원을 상회할 전망. 화장품 부문의 고성장이 매출 증가를 견인. B2B 매출 증가 및 프로모션 비용 감소로 수익성 개선 예상. 해외 성장 가속화 2025년 해외 매출 비중 67% 예상. 미국: 온라인 중심으로 성장, 오프라인 입점 시 추가 성장 가능. 일본: 1월부터 오프라인 유통망 확대, 1분기 500개 매장 입점 → 연내 3,000개 목표. 기타 국가(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제품 라인업 확대와 국가별 진출로 성장 기대. 목표주가 90,000원..

에이피알 - 아내가 긍정했던 거의 유일한 선물

2025.03.07/SK증권리서치센터/박찬솔 1. 에이피알 개요      - 뷰티 전문 브랜드로 화장품, 뷰티 디바이스, 퍼퓸, 건강기능식품, 의류 사업 운영      - 4Q24 매출 비중: 화장품/뷰티 47.6%, 디바이스 42.3%, 기타 10.0%      - 해외 매출 비중 64.0%, 주요 시장: 미국, 홍콩, 일본, 유럽   2. 경쟁력: 빠른 시장 침투와 가격 경쟁력      - 젊은 조직과 트렌드 반응 속도로 시장 선점      - 고가 뷰티 디바이스를 100만 원 미만으로 낮추는 전략      - 보급형 ‘부스터 프로 미니’ 출시(10만 원대) → Mass Market 공략      - 4Q24 디바이스 판매량 QoQ +76.0% 증가(58만 대)   3. 해외 시장 성장 가속화    ..

에이피알 - 글로벌 K-Beauty 선두주자로 도약

2025.03.04/유안타증권/이승은 1. 2024년 4분기 실적   - 매출액 2,442억 원(+61% YoY), 영업이익 396억 원(+15% YoY) →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389억 원) 부합.   - 미국 매출 690억 원(+131% YoY) → B2B·아마존 중심 성장 지속.   - 유럽 시장 CPNP 인증 획득 → 27개국 진출 본격화, B2B 매출 300억 원(+1,171%) 폭발적 성장.   - 화장품 매출 1,163억 원(+103%), 메디큐브 브랜드 969억 원(+141%) 차지 → 핵심 성장 동력.   - 영업이익 증가율이 매출 성장률보다 낮았던 이유:     - 해외 매출 증가로 운반비, 판매 수수료, 재고 충당금 증가.     - 광고선전비 비중: ..

에이피알 - 25년 매출 목표치 1조원 제시

2025.02.11/키움증권/조소정 1. 4Q24 실적 개요      - 매출액: 2,442억 원 (YoY +61%)      - 영업이익: 396억 원 (YoY +15%)      - 영업이익률 (OPM): 16.2% (전년 대비 감소, 4Q23 OPM 22.6%)      - 수익성 감소 요인: 해외 판로 확대에 따른 수수료·운송비 증가 2. 부문별 실적      - 디바이스 사업:        - 매출 1,034억 원 (YoY +47%)        - 미국 (+90%), 일본 (+46%), 홍콩, 글로벌 B2B 채널 성장        -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효과로 성장 견인          - 화장품/뷰티 사업:        - 매출 1,163억 원 (YoY +103%)        - 화장품:..

에이피알 - 해외 확장 지속

2025.01.23/키움증권/조소정 1. 4분기 예상 실적      - 매출액: 2,200억 원(+45% YoY)      - 영업이익: 380억 원(+11% YoY, OPM 17.3%)      - 주요 성장 요인:        - 아마존 프라임데이, 블랙프라이데이 효과로 매출 성장 우수.        - 하지만 프로모션/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할 전망.   2. 사업별 매출 성과      - 디바이스 사업:        - 매출액 1,106억 원(+58% YoY).        - 미국 아마존 채널이 성장을 견인, 대표 제품인 부스터프로 판매 호조 예상.      - 뷰티 사업(화장품 등):        - 매출액 963억 원(+68% YoY).        - 브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