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7/신한투자증권/강석오, 고준혁
1. 업황 현황
- 광고/커머스 업황은 바닥권에서 횡보 중.
- 업종 전반적인 반등보다는 실적 프리뷰 시즌에서 두 자릿수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 또는 인플루언서/AI 서비스가 가시화된 기업에 선별적 투자 필요.
2. 1월 광고경기전망지수(KAI)
- 1월 KAI 지수 100.4로 전월 99.1 대비 상승.
- 12월 동향지수도 99.7로 소폭 개선.
- 업종별 광고비 증가 예상:
- 교육 및 복지후생, 금융/보험/증권, 음료/기호식품, 제약/의료, 식품.
- 다만, 전년 동월 대비 지수는 98.1로 광고비 감소 전망.
3. 11월 소매판매 및 온라인 쇼핑
- 전체 소매판매액: 49조 원(YoY -0.4%), 3개월 연속 감소.
- 온라인 쇼핑 거래액: 21.2조 원(YoY +1%), 한 자릿대 성장 지속.
- 상품군별:
- 서적: YoY +2.1%로 성장 둔화.
- E쿠폰 서비스: 티몬 사태 영향으로 YoY -43.6%.
- 음식료품, 농축수산물, 음식서비스: 각각 YoY +12.5%, +11%, +14%로 물가 상승에 따른 높은 성장률.
- 자동차: YoY -10.3%로 가파른 감소세.
4. 포털/인터넷 서비스업 지수
- 11월 지수: 169(YoY +5.7%).
- 과거 두 자릿수 성장률에서 최근 한 자릿대 성장률로 둔화.
5. 결론: 바스켓 전략 종료, 선별적 투자로 전환
- 광고/커머스 산업은 실적 프리뷰 시즌을 통해 종목별 성과가 차별화될 전망.
- 네이버: 신규 커머스 앱에 주목.
- 카카오: 신규 AI 앱 출시 및 콘텐츠에 주목.
- 중소형주:
- 인플루언서 기반 콘텐츠.
- 생성형 AI 활용 검색/분석/마케팅 서비스.
- 특정 분야에 튜닝된 해외 AI 모델 서비스 기업에 관심.
'산업 > IT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서비스/전기전자 - 속도의 차이일 뿐 방향성은 확실 (0) | 2025.01.02 |
---|---|
인터넷/게임 - 2024년 외국인 지분율 점검 (0) | 2024.12.26 |
인터넷/SW (Positive) - MS의 국내 공공 클라우드 보안인증 획득 코멘트 (0) | 2024.12.04 |
인터넷 - 부정적인 광고/커머스 업황 지속 (0)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