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소비 트랜드
시장 핫 업종, 음식료
미국 실적 좋음, 실제 매출은 중국이 더 좋음
삼양식품, 미국 성장률 260%, 중국 190%로 금액은 훨씬 큼
미국 잘 봐야 하는데 금액은 중국이 비중이 높음
중국 매출 비중이 높아 등한시 하면 안됨
중국 BTS 짝퉁, TNT 아이돌 그룹
아직 BTS가 잘나감, 한국 아이돌 아직 긍정적
중국에서 유행하는 일본 관련 소비 트랜드 관심
일본 문화 상당히 스며들어 있는듯
중국에서 가장 잘나가는 편의점, 일본 브랜드
일본 기업들 중국에서 회사 설립시 지분의 10~20% 정도, 투자 같은 개념으로 접근
한국과는 많이 다름, 49:51 정도로 한국은 절반 가까이 보유함
역에 사람이 늘어 났음, 관광용품 파는 잡상인 늘어남 -> 사람이 오고 돈을 사용
일방통행으로 통제 해야 할정도로 사람, 소비가 구조적으로 증가, 중국 관련 소비주 개선 예상
중국 소비 부양책 영향, 싸게 파는 매장 브랜드 증가, 기존의 물건을 싸게 사는걸 선호 -> 유통기한 임박, 재고 등...
새로운 중국 소비 문화, 유통기한에 취약한 해외 물건이 많음
커피브랜드
건강기능식품 -> 이전에 비해 젊은층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 한방베이스 건강식품
인구의 절반 정도 유우 섭취 못함
단백질 대체 식품, 식물성 단백질, 코코넛 등 인기
코코팜, 쌕쌕, 포도봉봉 등 매출 좋음
한국 기업 소비재 포시션 생길듯
한국 건기식 ODM 업체 관심
- 한국 증시
한국 증시는 독자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미국 영향을 많이 받음
미국 기업 중심으로 수출하고 있음, AI, HBM, 변압기 등...
이로 상단이 막혀 가는 듯
종목별 변동성은 미국보다 높은듯
변동성 높게 상승 한 종목이 꽤 있어 하락시도 변동성이 높음
최근 기술적분석이 잘 안 맞음
화장품, 음식료는 문화라 장기 추세
음식료는 한번 사이클 타면 반도체 사이클보다 장기
중국에 음식료 사이클 탈때도 몇년 갔음
방산, 수주 -> 유지보수로 이어짐
앞으로 전쟁은 없어지진 않을듯, 전통의 무기 강호들 그동안 무기 생산 없었음
한국은 아직 휴전 중...
미국은 재정상의 이유로 타국가 방위비 분담금 증가
독일과 한국 전차 많으면 3배 가격 차이, 한국 가성비 우위
자동차는 탄력 받을려면 금리 인하 필요
자동차는 해당 나라의 고용에 굉장히 도움이됨
미국, 유럽에는 중국 전기차 관세로 막아 버림, 현대차그룹 수혜 있을듯
- 엔비디아
엔비디아 단기 과열
AI 열풍 아직 끝나진 않은듯
최근 S&P500과 나스닥 상승, 다우 약세 였음
빅테크 중심으로 매수세 쏠림
미국 대형 ETF 종목 리밸런싱
미국 추세 추종 펀드, 알고리즘 중심으로 움직임
엔비디아 독점 아직 유지
GPU가속기 성능 제한
더 이상 학습 데이터 없을시 문제 있을듯
조정이 있으면 매수도 가능 할듯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불편한 환경 있을듯
닷컴 버블 비교해서 시장 논란 비교
엔비디아는 실적으로 증명 보였음, 아직 까지는...
트럼프 신재생에 부정적 발언
AI 산업으로 더 많은 전력 필요, 신재생도 증가 필요
금리인하로 신재생 프로젝트, AI 산업, 데이터센터 등 더 살아 날수 있음
금리인하 9월, 연말 2번 기대
연준위원들 금리인하에 대한 발언 있었음
고금리에 대한 시장 부담 나오고 있음
실제 금리인하 시기 오면 경기 침체 논란 생겨 주가 세게 조정 올 수 있음
엔비디아
최근 고점 대비 16% 하락, 어제 6%이상 상승
추세 깨진 않았음, 아직은 조정도 아닌듯
젠슨 황 8만주, 1억달러 정도 매도, 전체 7억주 정도 보유
부사장도 25년 5월까지 매도
온디바이스AI 활발해야 엔비디아 GPU 데이터 학습에 대한 수요 증가 있을수 있음
퀄컴 스냅드래곤 X 엘리트 -> AI PC용으로 기대 모으고 있음
ARM 기반 윈도우OS용으로 출시
게임 등 일부 프로그램 호환 문제성 있는듯
에뮬레이터 버그 있는듯
이전 애플의 M1 처음 나왔을때랑 비슷항 양상인듯.. 시간 필요
ARM 기반인 기업은 모두 겪는 문제
중국 바이트댄스
바이트댄스 틱톡 모회사
맞춤 영상, 맟춤 광고 위해 필요
자국업체 재공하는 AI가속기 사용하는 상황
중국에 엔비디아, 인텔의 가우디 판매 불가
브로드컴, 구글의 TPU 설계 이력 있음, 세번째 고객으로 바이트댄스 일듯
작년 SK하이닉스 방문해 주문형 메모리 요구 추측
미국 정부 브로드컴에 못하게 강제 가능성 있음
에스티아이
반도채 팹 화학약품 공급 장치인 CCSS
리플로우 장비(후공정)
Wet System
OCL 등
메인은 CCSS 장비
삼성전자 평택 P5 투자, 하반기 신규 팹 이야기 나오고 있어 수혜 예상
'Daily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7.05 (0) | 2024.07.05 |
---|---|
2024.07.03 (0) | 2024.07.03 |
2024.06.29 (0) | 2024.06.29 |
2024.06.24 (0) | 2024.06.25 |
2024.06.21 (1)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