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22/IR기업리서치센터
1) 기업 개요 및 사업 구조
- 넥스틴은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기업으로 2010년 설립.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협력.
- 주력 제품 AEGIS 시리즈는 300mm 웨이퍼 결함 검사에 특화됨.
- 자외선(UV) 파장 기반 광학 시스템으로 경쟁력 확보.
- 신제품 KROKY와 IRIS로 포트폴리오 다변화 추진.
2) 기술 및 제품 포트폴리오
- 초기엔 Dark Field 방식 기반 장비로 시작, 빠른 검사 속도와 가격 경쟁력 보유.
- Bright Field 방식은 고해상도 검사에 적합하나 가격과 속도는 보완 필요.
- AEGIS는 KLA의 P시리즈와 유사한 감도 제공, 가격 경쟁력으로 아시아 고객 확보.
- KROKY는 HBM 등 고적층 메모리 후공정용 Macro Inspection 장비.
- IRIS는 브라이트 필드 기반의 신규 제품으로 시장 진입 중.
3) 성장 전략 및 실적
- 2024년 매출 1,137억 원(+29.3%), 영업이익 470억 원(+29.9%) 기록.
- 수출 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가 실적 견인.
- HBM 수요 증가로 2025년에도 성장 기대, AEGIS 비중은 약 70% 유지 전망.
- 파운드리 및 로직 반도체 고객 확대는 매출 안정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요인.
4) 기술적 차별성과 산업 흐름
- 웨이퍼 표면의 미세 결함 실시간 감지 및 품질 관리 기능 수행.
- 나노미터 단위 미세공정 확대에 따라 정밀 검사 기술 수요 증가.
- 머신러닝·딥러닝을 통한 결함 분류 및 예측 기능 고도화 중.
- 광학계, 전자빔, PMT·CMOS 센서를 복합 활용한 하이브리드 방식 채택.
- 검사 방식은 다크 필드/브라이트 필드 방식 혼용으로 구성 최적화.
5) 시장 경쟁 및 글로벌 플레이어
- 주요 경쟁사는 KLA, Camtek, Hitachi High-Tech, AMAT, Onto Innovation.
- KLA는 AI 기반 공정제어, 고속·고감도·정밀 분석을 통합한 종합 솔루션 제공.
- Camtek은 후공정(패키징) 검사에 특화, 2.5D/3D 검사 솔루션 강자.
- Hitachi는 전자빔 기반 계측 기술에서 KLA와 경쟁.
- Onto는 계측+결함검사 통합 하이브리드 플랫폼에서 두각.
6) 국산화 배경 및 넥스틴의 위치
- 일본 수출규제(2019)를 계기로 장비 국산화 중요성 부각.
- 미중 기술 분쟁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로 자립화 전략 필요.
- 넥스틴은 특정 검사영역에 특화하여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 점진 확보 중.
7) 투자 포인트
- AEGIS → KROKY → IRIS로 이어지는 제품 다각화로 성장 기반 마련.
- AI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로 HBM 검사 장비 중요성 부각.
- 로직 반도체 및 아시아 파운드리 고객 확보로 시장 저변 확대.
- HBM 검사 장비는 기술력과 함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부여 요소.
반응형
'반도체 > 넥스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스틴 - HBM 진입시 달라질 시각 (0) | 2025.02.10 |
---|---|
넥스틴 - Potential (0) | 2025.01.20 |
넥스틴 - 수확의 시기 (0) | 2024.11.14 |
넥스틴 - 이유 있는 자신감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