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12

아이패밀리에스씨 - 제품 경쟁력의 문제는 아니지만

2025.05.09/한화투자증권/한유정1Q25 실적 개요 – 또 다시 어닝 쇼크연결 매출액: 544억 원 (YoY -5.3%, QoQ +12.5%)영업이익: 71억 원 (YoY -39.2%, QoQ +22.6%)컨센서스 영업이익(93억 원) 대비 큰 폭 하회 → 어닝 쇼크전년 기저 효과로 매출은 의미 있는 성장세였으나 수익성은 부진수익성 악화 요인원가율 및 판관비율 동반 상승 → 영업 레버리지 효과 약화실적이 부진한 이유는 제품력 부족보다는 비용 구조 문제지역별 실적 분석국내: ‘더쥬시’ 리뉴얼 제품 판매 호조로 +1% YoY 기록일본: 전년 대형 유통채널 발주 기저로 -38% YoY 역성장→ 기저효과 제외 시 +12% YoY로 판단기타국가: 248억 원(+20% YoY)필리핀 +213%, 러시아 +15..

카페 24 - 거래액 성장률이 아쉬워

2025.05.09/신한투자증권/김아람1Q25 실적 요약매출 712억 원 (YoY +8.9%)영업이익 60억 원 (YoY +82%)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GMV 성장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함국내 GMV 성장률 및 시장 비교국내 GMV 성장률 +8.3%로 전체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2.4%)은 상회그러나 직전 2개 분기(+10.1%, +11.5%) 대비 둔화되어 아쉬운 수치유튜브쇼핑의 확산 속도는 기대보다 느린 편영업이익 호조 요인마케팅솔루션 매출 +38% (글로벌 매체 광고 호조)인스타그램, 구글 등 광고 수요 확대비용 증가율 +5%로 제한적 → 영업이익률 개선에 기여단기 전망GMV 및 이익 추정 상향 근거 부족 → 단기적으로 박스권 예상다만 유튜브쇼핑 관련 지표(제휴 프로그램 참여, 자체 PG 거..

휴젤 - 누군가 실적을 묻거든 고개를 들어 2분기를 보게 하라

2025.05.09/키움증권/신민수1Q25 실적 개요매출액 898억 원 (YoY +20.9%, QoQ -8.5%)영업이익 390억 원 (YoY +62.6%, QoQ -16.2%, OPM 43.4%)매출은 컨센서스 대비 -2.0%, 영업이익은 당사 추정치보다 +5.4% 상회톡신 사업1Q25 매출 407억 원 (YoY +19.5%, 당사 추정치 -7.9%)국내 195억 원, 수출 213억 원1공장 폐쇄 및 3공장 전환으로 QoQ -22.9% 감소중국 ‘Letybo’는 규제 적합 제품군 확보로 성장 기대미국: 2Q25 추가 선적 150억 원 예상중동: 5월 정식 출시로 ROW 확대 전망2025년 연간 매출 2,555억 원 예상 (YoY +26.7%)필러 사업1Q25 매출 344억 원 (YoY +37.7%)국내..

BGF 리테일 - 성수기 시즌 객수 회복에 걸어보는 희망

2025.05.09/신한투자증권/조상훈, 김태훈산업 전반: 저성장 국면 진입소비 침체 영향으로 편의점 산업도 타격2025년 출점 가이던스 700개로, 최근 5년 평균(900개)의 76% 수준고밸류 회복 위해선 기존점 성장률 반등 통한 질적 성장 필요1Q25 실적 개요매출: 2.02조 원 (+3.2% YoY)영업이익: 226억 원 (-30.7% YoY, 컨센서스 대비 -28%)기존점 성장률: -2.1% (일반 상품 -2.9%, 담배 -0.7%)객수 -3.2%, 객단가 +1.1%영향 요인 및 비용 구조비우호적인 기상, 영업일수 감소, 소비 부진이 원인본부임차 매장 비중 증가 → 감가상각비 증가세는 둔화 (4.4%)매출 부진으로 고정비 부담 해소에는 한계우호적 변화 예상 (2Q25 이후)가공식품 가격 인상 →..

LG 유플러스 - 턴어라운드 성공, 목표주가 상향

2025.05.09/SK증권리서치센터/최관순1Q25 실적 개요영업수익: 3조 7,481억 원 (+4.8% YoY)영업이익: 2,554억 원 (+15.6% YoY), 영업이익률 6.8%7분기 만에 영업이익 턴어라운드 성공사업 부문별 성과MNO(모바일) 5G 보급률 74.8% → 모바일 서비스 수익 +2.4%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 → 스마트홈 수익 +2.4%MNO 가입자 +6.7%, MVNO 가입자 +21.7% 증가경쟁사 신규가입 중단 영향으로 2Q25에도 가입자 증가세 기대비용 효율화 효과감가상각비 안정화 및 마케팅 비용 관리 → 이익 개선에 기여연간 실적 전망 및 주주환원연간 영업이익 전년 대비 +15.8% 전망주당 650원 배당(현주가 대비 5.2%) 예정기존 자사주 678만주 소각(1.6%)추가 자사..

비에이치 - 저평가 우량주의 2026 년 성장동력

2025.05.09/SK증권리서치센터/박형우, 권민규2분기 실적 반등 예상영업이익 165억 원 전망 (전년 대비 -47%이나 흑자 전환)연속된 어닝쇼크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실적 반등 요인 4가지① 태블릿용 FPCB 부문 대규모 적자 후 추가 악화 가능성 낮음② 신규 스마트폰향 부품 공급 시작 예정③ BOE의 북미 점유율 부진 예상 → 동사 기회④ 국내 FPCB 밸류체인 내 동사의 점유율 우위 예상2026년 3대 성장 포인트① 고단가 신규 폴더블 플랫폼 출시 예정 (기존 대비 2~3배)② IT용 OLED, 태블릿 → 노트북으로 채택 확대③ 무선충전모듈 북미 고객사 등 매출처 확장전방 산업의 2025년 부정 요인스마트폰 판매 부진 및 고객사의 단가 인하 압력무역 분쟁과 관세 불확실성디스플레이 업체 간 경쟁..

씨에스윈드 - 과도한 주가 하락과 어닝스 서프라이즈

2025.05.08/유진투자증권/한병화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매출: 9,019억 원 (컨센서스: 8,728억 원)영업이익: 1,252억 원 (컨센서스: 971억 원)타워 매출 전년 대비 +28%, 하부구조물 가격 인상 효과로 이익률 상승세부 부문 실적타워 부문: 미국 매출 이연 반영, 영업이익률 10% (AMPC 제외 시 3.9%)하부구조물 부문: 가격 인상 지속, 영업이익률 27%풍력 수요 지역별 견조미국, 중국, 베트남, 터키 등지에서 육상/해상풍력 수요 유지2026년부터 유럽·미국 대형 프로젝트 본격화 예정2025년 전망: 영업이익 증가, 매출은 소폭 감소2025년 예상: 매출 2,967억 원(-3% YoY), 영업이익 2,903억 원(+14% YoY)타워 부문 이익률 상승, 하부구조물 가격 인..

에이피알 - 날아오르다

2025.05.09/키움증권/조소정1Q25 실적: 시장 기대치를 상회매출 2,660억 원(+79% YoY), 영업이익 545억 원(+49% YoY, 영업이익률 20.5%)화장품 매출 +152% YoY, 미국·일본·글로벌 B2B 채널이 성장을 견인국내 사업 부진국내 매출: 768억 원(-7% YoY)뷰티 부문은 전년과 유사, 의류 부문 축소로 전체 매출 감소해외 사업 고성장해외 매출: 1,893억 원(+186% YoY)채널별 성장률:글로벌 B2B: +992%일본: +198%미국: +186%중화권: +39%글로벌 B2B: 폭발적 확장세2월부터 본격화, 100여 개국 진출유럽, 중동, 동남아 중심 빠른 확장일본 시장: 온·오프라인 병행 전략온라인: 큐텐, 메가와리 행사 매출 상승오프라인: 유통 채널 확대미국 ..

에이피알 - 성장성 폭발, 주가 폭발

2025.05.09/신한투자증권/박현진, 주지은1Q25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연결 매출 2,660억 원(+79% YoY), 영업이익 546억 원(+97% YoY)당사 추정치 대비 매출 +18%, 영업이익 +35%로 기대치를 크게 상회화장품 부문 폭발적 성장디바이스 매출: 909억 원(+36%)화장품 매출: 1,650억 원(+152%) → 메디큐브 브랜드 중심 성장기타 매출: 101억 원(-40%)해외 매출 비중 증가전체 해외 매출: 1,893억 원(+186%) → 전체 매출의 71% 차지국가별: 미국 710억(+187%), 일본 293억(+198%), 중화권 284억(+39%)한국 제외 모든 국가에서 고성장B2B 매출 급증, 고정비 부담 완화B2B 매출: 전분기 300억 → 이번 분기 607억으로 2배 ..

텔레칩스 - 1Q25 Review: 신제품 공급 확대 중

2025.05.09/유진투자증권/박종선1Q25 실적: 매출은 전년 수준, 수익성은 악화매출액 452억 원(전년동기 -0.4%), 영업손실 26억 원(전년동기 흑자 → 적자 전환)전년과 유사한 매출이지만, Cockpit(클러스터·HUD) 매출 +106.1%, 로열티(라이선스) 매출 +82.6%로 내용 면에서는 긍정적해외 비중 증가해외 직접 수출 비중이 전년 1분기 40%대 중반 → 올해 1분기 50%대 중반으로 상승글로벌 시장 확대 성과 확인됨영업손실 요인: 인력 충원차량용 반도체 신제품 라인업 확대를 위한 인력 보강이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단기 손실이나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로 해석 가능2Q25 전망: 실적 반등 기대예상 매출액 511억 원(+11.1% YoY), 영업이익 30억 원(+176.8% 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