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삼성전기 18

삼성전기 - 3Q 실적 양호2025년 MLCC, 기판 호

2024.10.31/대신증권/박강호 1.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하향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80,000원으로 하향(10%) 조정.    - 2025년 주당순이익(EPS) 감소를 반영하여 목표주가 설정. 2. 2024년 3분기 실적 예상치      - 영업이익 2,249억 원, 컨센서스 소폭 하회.    - 매출은 2.62조 원으로 컨센서스에 부합. 3. 4분기 및 2024년 전체 실적 예상      - 4분기: 비수기와 IT 수요 감소로 매출 2.39조 원, 영업이익 1,708억 원 예상.    - 2024년 및 2025년 EPS 각각 20.6%, 12.3%씩 하향 조정. 4. MLCC와 FC BGA 매출 증가      - 2024년 3분기 MLCC의 가동률 및 평균공급단가(ASP)..

삼성전기 - AI, 전장화로 실적 개선 유지

2024.10.30/하나증권리서치센터/김록호, 김영규 1. 3분기 실적      - 삼성전기의 3분기 매출액은 2.62조 원(YoY +11%, QoQ +1%), 영업이익은 2,249억 원(YoY +22%, QoQ +8%)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    - 스마트폰, PC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약했고,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    - 컴포넌트 부문에서 MLCC 물량은 전분기 수준이지만, AI 서버와 전장용 비중 확대에 따른 Blended ASP 상승으로 외형 성장. 2. 광학 및 패키지 부문      - 광학통신 부문은 국내 주요 고객사향 플래그십 출시에도 중화권 보급형 공급 감소로 매출 감소.    - 패키지 부문에서 ARM PC용 BGA 및 AI/서버, 전장 ADAS용 FCBGA 공급이 본격화되며..

삼성전기 - 3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전망

2024.09.30/교보증권/최보영 1. 3Q24 실적 전망 (컨센서스 하회)      - 매출액: 2조 6,027억 원 (YoY +10.2%, QoQ +2.9%)      - 영업이익: 2,217억 원 (YoY +20.5%, QoQ +10.9%, OPM 8.5%)      - 컨센서스(매출 2조 6,642억 원, 영업이익 2,479억 원) 하회.      - 주요 요인은 IT 수요 부진과 원/달러 환율의 부정적 영향. 2. 컴포넌트 사업부      - 가동률 90%, ASP Flat, 재고 4주 수준으로 전분기 대비 안정적.      - 출하량 소폭 하락에 따라 실적 부진. 3.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      - 전장용 공급 확대 지속, 플래그십 제품 내 견고한 위치 유지.      - 스마트폰 출하 ..

삼성전기 - 회복이라는 믿음

2024.09.26/신한투자증권/오강호 1. AI 시장 개화 수혜 및 2024년 실적 회복 전망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했으며, AI로 인한 IT디바이스 수요 회복과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로 2024년 실적 회복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2. MLCC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의 수요 증가는 단기적인 이벤트가 아닌 중장기적인 성장 포인트로 판단된다.     2024년 하반기에도 가격 상승과 가동률 증가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3. 3분기 실적 기대      2024년 3분기 영업이익은 2,270억원(+23% 전년대비)으로 예상되며, 주요 제품인 컴포넌트와 패키지 매출 확대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8.8%(+1.0%p)로 개선될 것으로 기..

삼성전기 - 앞으로가 기대된다

2024.09.05/유안타증권/이안나 1. MLCC 분류 및 특성   - MLCC는 온도 특성에 따라 Class I, II, III로 구분됨. Class I은 고정밀, 저손실, Class II는 중간 안정성 및 큰 정전 용량, Class III는 높은 정전 용량을 제공하지만 온도 안정성은 떨어짐.    2. MLCC 수요 급증   - 스마트폰, PC, AI 서버, ADAS 등에서 MLCC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스마트폰 1대에 80~100개, AI 노트북/PC에는 약 1,000개, AI 서버에는 6,000~7,000개, 전장용에는 3,000~20,000개의 MLCC가 사용됨. 3. 공급 타이트와 가격 상승 기대   - 글로벌 MLCC 기업들의 가동률이 85%에 육박했으며, 고사양 MLCC 공급 부족으로 ..

삼성전기 - 무난한 2분기, 3분기

2024.08.01/IBK투자증권/김운호 1. 2024년 2분기 실적    - 매출액 2조 5,801억원 (-1.7% QoQ)      - 광학통신 부문 감소, 나머지 사업부는 약 15% 증가      - IT, 산업용, 전장 수요 고르게 개선됨    - 영업이익 2,081억원 (+15.5% QoQ)      - 광학통신을 제외한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      - 가동률 상승 및 제품 믹스 개선 영향 2. 2024년 3분기 전망    - 매출액 2조 6,850억원 (+4.1% QoQ)      - 광학통신 제외 사업부 매출 증가 예상      - 패키지: +12.3%, 컴포넌트: +12.3%      - 광학통신: -10.8%    - 영업이익 2,441억원 (+17.3% QoQ)      - 광학통신 ..

삼성전기 - AI PC 출시로MLCC/기판, 수요 증가

2024.07.04/대신증권/박강호 1.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200,000원 유지. 2. 2024년 2분기 영업이익   2,147억원(19.1% qoq/4.8% yoy)으로 예상, 컨센서스(2,099억원) 부합. 3. 3분기 영업이익    2,563억원으로 19.4%(qoq) 증가 예상, MLCC 중심으로 가동율 상승, 믹스 효과로 수익성 개선. 4. 2024년 연간 영업이익    8,865억원으로 38.5%(yoy) 증가, 2025년 21.8%(yoy) 증가 예상. 5. 매출 증가와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믹스 개선으로 영업이익 증가세 높을 전망. 6. 2024년 2분기 매출    2.15조원으로 9.7%(qoq/6.7% yoy) 감소 예상, 영업이익 2,147억원(19.1% ..

삼성전기 - AI 디바이스 핵심 수혜 부품군: 수동부품

2024.06.05/SK증권리서치센터/박형우, 박형우  1. MLCC 수요 증가 및 하반기 계절성에 따른 호황 재진입: -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는 IT 디바이스에서 전류를 안정화시키는 필수 수동부품으로, 시장 규모가 70% 이상을 차지. - AI 디바이스의 침투율 상승으로 MLCC 업황 개선 전망. - AI 스마트폰과 AI PC 내 MLCC 채용량 증가 확인. - SMT(납땜) 기업에서도 MLCC 수량 증가에 따른 SMT 수요 증가 감지. - 현재는 수요 개선 없이도 세트 내 채용량 증가로 시장 확대 예상. - MLCC 가동률은 80% 수준, 하반기 계절성과 AI 디바이스 시장 개화가 맞물리면 호황 진입 가능. 2. AI, 서버, 자율주행 전장 기업: -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