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61

하이비젼시스템 - 깊고 넓어지는 성장

2024.06.14/키움증권/오현진 1. 24년 실적 전망:   - 2024년 영업이익 678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 예상.   - 2023년 실적 피크 아웃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속 성장 가능.   - 신규 사업 진출(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로 중장기 성장 기대.    - 매출액 3,766억원(YoY 8%), 영업이익 678억원(YoY 15%) 전망.    - 카메라 모듈 업체 투자 및 신규 수주로 지속 성장 예상.    - 1분기 매출액 482억원(YoY 30%), 영업이익 56억원(YoY 27%) 기록. 2. 신규 타겟 시장:    -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분야로 사업 확대.    - 23년 이차전지 배터리 생산 라인 첫 수주 및 1분기 추가 수주.    - 반도체 분야 AOI 장비 공급 계..

메쎄이상 - 늘어나는 전시 경험만큼 실적도 증가

2024.06.12/SK증권리서치센터/나승두 1. 팬데믹 이후 빠른 정상화, 실적은 우상향 중    - 메쎄이상은 대규모 전시회 기획 및 주최 전문 기업.    -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 플랫폼과 빅데이터 솔루션을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전시회를 개최.    -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사업 규모 축소가 불가피했지만, 팬데믹 이후 빠르게 실적을 회복.    -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 500억원을 넘어섬. 2. 1분기도 순항, 연간 전시회 개최 실적 증가할 것    - 1Q24 매출액 119억원(YoY +20.6%), 영업이익 32억원(YoY +19.4%) 기록.    - 위탁 기획 및 주최 전시회 횟수 증가.    - 수원 메쎄 전시장 가동률 상승으로 외형 성장 지속.    - 건축/인테리어, 육아/교육, 반려..

기타/메쎄이상 2024.06.12

원익QnC - 올해도 좋지만 더 중요한 것은 내년

2024.06.12/한화투자증권/김광진 1. 쿼츠 Capa 증설 가속화 전공정 소재/부품 업체들이 1Q24를 기점으로 실적 성장 구간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동사도 구미와 대만 쿼츠 Capa 증설을 가속화하고 있다.  대만 증설분은 연내 마무리, 구미 증설분은 내년 상반기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쿼츠 매출은 지난해 2,519억 원에서 올해 3,116억 원, 내년 3,888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 영업이익 전망 업황 회복의 효과로 전사 영업이익은 올해 1,410억 원, 내년 1,719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3. 2Q24 실적 전망 2Q24 예상 실적은 매출액 2,202억 원(+2% QoQ), 영업이익 359억 원(+10% QoQ)으로 전망된다.  매출..

반도체/원익QnC 2024.06.12

인텔리안테크 - 기다려 온 지상용 안테나 매출의 본격화

2024.06.12/한화투자증권/배성조 1. 2Q24 실적 예상 인텔리안테크의 2Q24 실적은 매출액 723억 원(YoY -17.5%),  영업이익 5억 원(YoY -93.7%, OPM 0.7%)으로, 영업이익 기준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2. 해상용 매출 회복 2분기부터 주요 고객사(Inmarsat 등)향 매출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상용(평판형/게이트웨이)도 양산이 시작되어 QoQ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R&D 비용 등 고정비 증가로 OPM은 1% 미만으로 추정되며, R&D 비용은 연말 이후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 해상용 안테나 1분기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으로 부진했으나, 2분기부터 발주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반기에는 밀리..

심텍 - 메모리기판의 회복 흐름 가속화

2024.06.12/SK증권리서치센터/박형우, 권민규 1. 메모리기판 회복세 메모리기판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가파르다. 이는 MCP(모바일 메모리 및 SSD용 패키징 기판) 효과 덕분이다.  2024년 MCP 매출 추정치를 5,267억 원에서 6,052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2. 점유율 상승 전방 모바일/메모리 출하량 증가 효과는 미미하지만, MCP 기판 산업 내 심텍의 점유율이 상승 중이다.  2분기 주문 증가로 3분기부터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3. 기판 투자 메모리기판(MCP 등)은 FCBGA와 달리 2019~2022년 기판 증설 분위기에서 투자가 미미했다.  그러나 수요는 반등 중이며 턴어라운드가 가속화되고 있다. 4. 실적 개선 가속화 2분기부터 실적 반등이 시작된다. 영업이익 추정치를 10억..

반도체/심텍 2024.06.12

티앤엘 - 2분기 최대 실적 전망, 더 기대되는 하반기

2024.06.10/유안타증권/손현정 1. 2Q24 역대 최대 실적 예상    - 여드름 패치 수요 증가로 매출액 515억원 (YoY +41.3%, QoQ +107.5%), 영업이익 179억원 (YoY +42.4%, OPM 34.8%) 예상. 2. 하반기 성장 전망    - 유럽 및 국내 매출 증가로 전년 대비 두드러진 성장세 예상.    - 신규 국가 진출로 하반기에도 호실적 기대. 3. 2024년 연간 실적 전망    - 매출액 1,598억원 (YoY +38.4%), 영업이익 486억원 (YoY +57.7%, OPM 30.4%) 전망. 4. 미국, 유럽, 중국 시장 확장    - HERO의 Mighty Patch가 아마존에서 1위 유지.    - C&D는 유럽 포함 40개국으로 유통망 확장 계획.  ..

카카오 - 전략적 의사결정 요구

2024.06.10/키움증권/김진구 1. 목표주가 하향 조정:     - 카카오의 목표주가를 기존 6.9만원에서 5.6만원으로 하향.     - 이유: 데이터 가치 희석 및 AI 경쟁력 저하 가능성. 2. 목표주가 산출 근거:     - 본사 및 기타 사업부문 적정가치: 3.6조원.     - 커머스 사업부문 적정가치: 7.1조원.     - 페이 지분가치: 1.5조원.     - 뱅크 지분가치: 1.5조원.     - 모빌리티 지분가치: 2.8조원.     - 엔터테인먼트 지분가치: 5.8조원.     - Kakao Piccoma 지분가치: 2.0조원.     - 게임즈 지분가치: 0.6조원. 3. AI 경쟁력 약화 우려:     - 본사 및 기타 사업부문 목표 PER을 22.5배에서 20배로 하향. ..

카페 24 - 조용히 열일중인 유튜브쇼핑

2024.06.07/신한투자증권/김아람 1. 유튜브쇼핑 업데이트와 영업환경 개선 전망: - 유튜브쇼핑의 업데이트로 영업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 카페24는 매출액 업사이드에 따라 밸류에이션이 달라지는 기업 (1Q24 매출 대비 인건비/감가비 비중 49%). - 1Q24 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46% 상승. 2. 투자포인트와 주가 반영: - 5/9 보고서에서 다룬 투자포인트 ‘낮아진 주가 + 비용 절감에 따른 본업 턴어라운드’가 대부분 반영됨. - 앞으로 주가 상승을 위해 유튜브쇼핑 성과 (국내 GMV 성장률) 증명이 중요해질 것. - 현재 유튜브쇼핑 매출 기여 추정에는 한계가 있으나, 구글의 생태계 확장에 따라 영업환경은 계속 개선 중. 3. 유튜브쇼핑 업데이트 내용: - 구글이 예상보다 국내 유튜..

이수페타시스 - 전자부품 섹터 내 클라우드 AI 최대 수혜주

2024.06.05/SK증권리서치센터/박형우, 권민규 1. MLB 산업의 수급 개선 및 클라우드 AI 수요 증가:- 미중 분쟁으로 2020년부터 MLB 산업의 수급 개선 시작.- 2023년부터 클라우드 AI 기업들의 수요 증가로 수급이 더 타이트해짐.- 2024년 하반기부터 공급 부족 예상, 클라우드 AI 투자 확대가 MLB 전제품군에서 쇼티지 유발. 2. 2024년과 2025년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 필요:- 4공장 가동: 2024년 3분기부터 신공장 양산, 본사 1, 2, 3공장 Capa 합산 규모의 50% 이상 투자, 매출 증액 효과 1,500억 원 추정.- 북미 고객사향 매출 증가: 2023년 7월부터 공급 시작, 2023년 232억 원에서 2024년 1,125억 원 전망, 기판 다변화 요구되나 ..

삼성전기 - AI 디바이스 핵심 수혜 부품군: 수동부품

2024.06.05/SK증권리서치센터/박형우, 박형우  1. MLCC 수요 증가 및 하반기 계절성에 따른 호황 재진입: -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는 IT 디바이스에서 전류를 안정화시키는 필수 수동부품으로, 시장 규모가 70% 이상을 차지. - AI 디바이스의 침투율 상승으로 MLCC 업황 개선 전망. - AI 스마트폰과 AI PC 내 MLCC 채용량 증가 확인. - SMT(납땜) 기업에서도 MLCC 수량 증가에 따른 SMT 수요 증가 감지. - 현재는 수요 개선 없이도 세트 내 채용량 증가로 시장 확대 예상. - MLCC 가동률은 80% 수준, 하반기 계절성과 AI 디바이스 시장 개화가 맞물리면 호황 진입 가능. 2. AI, 서버, 자율주행 전장 기업: -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