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조선 5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Q25: 실적은 거들뿐, 투자로 더 앞서나갈

2025.05.02/iM증권/변용진1Q25 실적 호조매출 5조 4,842억 원, 영업이익 5,608억 원(OPM 10.2%) 기록.컨센서스(매출 4조 7,995억 원, 영업이익 5,019억 원) 대비 각각 +14.3%, +11.7% 상회.한화오션 연결 반영 시작이번 분기부터 한화오션 실적이 연결 반영됨.지상방산 부문 성과매출 1조 1,575억 원, 영업이익 3,019억 원(OPM 26.1%).매출은 전분기 대비 1/3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이익률은 개선.폴란드 K9 20문, 천무 24대 인도됨.천무의 연간 인도 대수가 K9보다 많아질 가능성 있음.높은 이익률 원인환율효과 + 반복생산 효과가 각각 10%씩 기여.K9/천무 본격 양산 2년차로 생산성 향상 → 계약 이익률보다 높은 수익 실현.향후 호주·이집트..

한화시스템 - 본업은 견조하나 부담스러운 밸류에이션

2025.04.30/미래에셋증권/정동호1. 1Q25 실적 요약매출액: 6,901억 원 (YoY +26.8%, 컨센 대비 +4.4%)영업이익: 582억 원 (YoY +27.8%, OPM 8.4%, 컨센 대비 +28.3%)컨센서스 상회 요인:폴란드 K2 1차, UAE/사우디 M-SAM-II MFR 등 수출 증가필리조선소 적자폭 축소일회성 요인: 없음2. 방산 부문매출: 4,303억 원 (YoY +12.7%)영업이익: 503억 원 (YoY +47.9%, OPM 11.7%)수출 비중: 35%로 증가수출 증가 요인:해외매출 전분기 대비 +42%TICN 4차양산 종료로 국내 매출 전년 대비 -12%, 전분기 대비 -57%향후 전망: 국내사업 재개 시 수출 비중 연간 20% 내외 전망3. 필리조선소매출: 1,165억..

현대로템 - 꾸준한 실적 성장에 더해지는 수주 기대감

2025.04.18/메리츠증권/이지호1) 1분기 실적 요약매출액 1조 2,1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1%, 전분기 대비 -15.8% 기록. 영업이익은 1,889억 원으로 전년 대비 +62.1%, 전분기 대비 +16.8%, 영업이익률(OPM) 15.6%. 컨센서스(1,870억 원) 부합 → 안정적인 이익 성장세 유지 확인. 폴란드향 K2 전차 1분기 인도량은 26대, 연간 목표치 96대 달성 무난할 전망. 폴란드 2차 계약(추정 규모 약 9조 원) 체결 시, 2026년 이후 수출 물량 확보 가능. 현지 생산 이전인 2H26까지는 높은 수익성(2024년 방산 수출 OPM 34%) 유지 기대.2) 수출국 확대에 따른 멀티플 상승 기대현재는 국내 방산 기업 중 가장 낮은 PER 기록 중. ..

한화엔진 - ASP 상승효과 및 AM 성장 확인

2025.04.22/SK증권리서치센터/한승한1) 1분기 실적 요약1Q25 매출액은 3,1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 전분기 대비 -2.5% 기록. 영업이익은 2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8%, 전분기 대비 +22.8%로 컨센서스(207억 원)를 소폭 상회. 엔진 납품 대수는 30대(4Q24: 32대)로 감소했으나, 고마진 프로젝트 및 고환율 효과로 매출 감소폭은 -2.5%에 그침. 고마진 메탄올 D/F 엔진과 AM 사업 부문의 비중 증가로 ASP 상승 및 수익성 개선. 비선박엔진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전체적으로 빠른 외형 성장 실현.2) 수주 현황 및 전망1Q25 기준 신규수주 1조 587억 원으로, 작년 연간 수주액의 약 64% 달성. 90% 이상이 중국 조선소향 물량이며, ..

현대로템 - 전차 강국, 우리가 만들어준다

2025.04.17iM증권/변용진1) 전차 강국으로 도약한 대한민국 6.25 전쟁 당시 자체 전차가 없어 고전했던 한국은, 70여 년이 지난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전차 강국이 되었음. 2) 현대로템의 위상 국내 유일의 전차 제작사로서, 1980년대 M1 에이브람스를 기반으로 K1 전차를 처음 생산. 이후 완전한 국산 전차인 K2 전차 개발과 생산을 주도함.3)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능력 K2 전차는 성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생산 능력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임. 최대 경쟁사인 KNDS는 연간 약 50대 생산 가능한 반면, 현대로템은 평시 기준 약 100대, 필요 시 그 이상도 가능. 4)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략적 우위 KNDS가 독일 및 서유럽 시장에 집중하는 동안, 현대로템은 그 외..

SNT다이내믹스 - 동사 변속기 첨병 역할로 K2ME 중동수출 탄력 받을 듯

2025.04.14/iM증권/이상헌튀르키예 알타이 전차 성과동사의 변속기가 탑재된 알타이 전차, 고온·험지 환경에서 200km 야지주행 시험을 완벽히 통과.이 성과를 바탕으로 2023년 BMC와 2,671억원 규모 수출 계약 체결(2027년까지 921억 + 옵션 포함 2030년까지 총 2,671억).K2 전차 4차 양산 진입K2 전차는 지금까지 1~3차 총 260대 생산 완료.2024~2028년 사이 150대 생산 예정인 4차 양산이 본격화.기존에는 국산 엔진 + 독일 RENK 변속기 조합이었으나, 4차 양산부터는 동사 변속기(1,500마력급) 채택.K2 4차 양산 계약 체결2024년 2월, 방위사업청과 1,337억원 규모 변속기 공급 계약 체결 완료.수출 가능성 확대K2 4차 양산용 변속기 채택으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퀀텀점프를 위한 마중물

2025.04.11/미래에셋증권/정동호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1Q25 예상 매출액 5조 2,094억 원(YoY +259.5%, 컨센 대비 +33%), 영업이익 5,227억 원(YoY +2,845.8%, OPM 10.0%, 컨센 대비 +14%).주요 요인은 ▲폴란드 천무 납품 확대(1분기 18대), ▲우호적인 환율, ▲영업 레버리지 효과.유상증자 구조 변경 및 시장 소통 강화3.6조 원 규모 유상증자 진행.주주배정(15% 할인)과 제3자 배정(할인 없음)으로 구조 변경.증자비율은 13%→9.36%, 희석률은 11.5%→8.6%로 낮아짐.자금 활용 계획 투명하게 공개총 11조 원 규모의 방산 투자계획 발표.미국 MCS 스마트팩토리(~3Q25)와 사우디 방산 협력(2H25)이 핵심 마일스톤.수조 원 규모 빅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긍정적인 증자 구조 변경

2025.04.09/키움증권/이한결유상증자 계획 변경 3월 20일: 3.6조 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발표 금융감독원: 자금 사용 목적 불명확 → 정정 공시 요구 4월 8일: 정정 공시 통해 보다 주주 친화적인 방식 제시변경된 자본 조달 방식 주주배정 증자 규모 축소: 3.6조 → 2.3조 원 제3자 배정 도입: 1.3조 원, 한화에너지 참여 예상 제3자 배정은 할인율 없음, 1년 매도 제한 조건 포함중장기 투자계획 및 실적 모멘텀 2025년 실적 가이던스: 매출 30조 원 영업이익 3조 원 → 시장 컨센서스 상회지상방산 부문: 폴란드향 K9/천무 인도량 예상치 초과 달성 전망 한화오션 실적 성장 예상 폴란드 외 해외 방산 수출 확대 기대11조 원 규모 투자 계획 유상증자 3.6조..

풍산 - 구리 가격 약세 속에서 빛나는 방산

2025.04.08/신한투자증권/박광래, 한승훈방산 성장에 베팅하는 구조2024년 방산 부문 이익 비중 75%, 신동 25% 실적상 사실상 방산업체에 가까움 방산업체를 PBR 0.6배, 예상 배당수익률 5% 수준으로 투자 가능한 기회1Q25 Preview영업이익 604억 원 예상 (+11.4% YoY) → 컨센서스(633억 원) 부합신동 부문 실적 전망판매량: 4.4만 톤(전망치 4.3만 톤 대비 +0.1만 톤, YoY -3.3%) 판가 상승: +11.9% 매출: 5,806억 원(+7.9%) 이익률: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메탈게인 효과로 2%대 이익률 예상방산 부문 실적 전망매출 YoY -6.3% (내수 +1.1%, 수출 -12.5%) 고환율(1,450원) 덕분에 수출 이익률 방어 16%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 지분 증여, 유상증자 논란 정면돌파

2025.04.01/신한투자증권/이동헌, 이지한㈜한화 지분 증여 및 3세 경영 개막 김승연 회장은 3월 31일 보유 지분 22.65% 중 절반(11.33%)을 세 아들에게 증여. 김동관(4.85%), 김동원(3.23%), 김동선(3.23%)에게 분배됨. 지분 증여 후 한화에너지(22.16%)와 세 아들 지분을 합쳐 ㈜한화의 총 지분 42.67% 확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논란 해소 3.6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 관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 증자 신고에 대한 금융감독원(금감원) 승인 절차 남아 있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매입 논란 한화에어로가 증자 전 한화오션 지분 7%를 1.3조 원에 매입. 기존 23.14%에서 30.44%로 지배력 확대. 주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