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 138

케이아이엔엑스 - 2분기부터는 실적주

2025.03.28/신한투자증권/김아람2Q25부터 매분기 이익 성장 전망 과천 데이터센터 오픈 효과 소멸로 주가는 횡보 중 2Q25부터 가동률 상승으로 매분기 이익 성장 예상 실적이 꾸준히 상승할 전망으로 중장기 투자처로 안정적 3월 정례 IR 주요 내용 및 1Q25 실적 전망 과천센터 계약률 현재 30%대, 25년 말까지 80%(Full Capa) 목표 고객 순차 입주 중, 4~5월 본격 서비스 개시 예상 Full Capa 시 예상 매출: 상면임대료 400억 원+α, 수익성 20% 중반 네트워크 사용료는 3년 내 400억 원 수준 가능 1Q25 실적 전망 매출액 362억 원(+18%), 영업이익 40억 원(-31%) 예상 과천센터 오픈으로 연 70억 원 감가비 및 고정비 발생 고객..

크래프톤 - PUBG는 여전히 성장 중

2025.03.19/삼성증권/오동환, 유승민PUBG 최대 트래픽 경신: 3월 동접자 90만 돌파(코로나19 이후 최대). 8주년 업데이트 로드맵 발표. PUBG 업데이트 로드맵: 슈퍼카 콜라보 연 2회 확대, 셀럽·패션 브랜드 협업 추진. 신규 캐릭터 시스템 ‘컨텐더’ 추가, UGC(이용자 제작 콘텐츠) 도입. InZOI 가격 전략: 얼리 액세스 가격 39.99달러(국내 44,480원), 출시 전 DLC 무료 제공. Sims4와 비교해 합리적 가격, 1년간 업데이트로 완성도 향상 및 유저 확보 전략. 1분기 실적 성장 예상: 4분기 부진 후, 1분기 매출 YoY +23%, QoQ +33% 증가 전망. 인조이 마케팅 및 신규 채용 비용 증가에도 영업이익 YoY +25% 성장, 컨센서스 대비..

카카오 - 초개인화 플랫폼의경쟁력 증명 시플랫폼 가치 재평가 가능

2025.03.19/대신증권/이지은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상향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0,000원으로 기존 대비 4.2% 상향 목표주가는 SOTP 방식으로 산출, 본사 사업가치 8.2조 원, 자회사(게임즈, 뱅크, 페이 등) 지분가치 13.9조 원 반영 AI 신규 사업 기대감 반영, 톡 비즈니스 사업가치 멀티플 할인율 축소(30%→20%) 영향 카카오 AI 사업 및 플랫폼 가치 개선 전망 카카오 AI 서비스 4가지 출시 예정1) AI 검색 (카카오톡 내)2) AI 메이트 (톡채널 형태)3) 카나나 (별도 앱)4) OpenAI 공동 개발 프로덕트 AI 메이트 및 AI 검색 상반기 출시 예정, 유저 맞춤형 경험 제공 기대 톡 내 체류 시간 증가, 리텐션율 상승, 유저 1인당 매출 증가 가능성..

크래프톤 - PUBG, 잘해왔고 계속 잘할 것

2025.03.19/하나증권리서치센터/이준호PUBG 2025년 로드맵 공개 신규 콘텐츠: 차량 2종, 아티스트 및 셀러브리티 콜라보, 패션 브랜드 콜라보 성장형 외형 ‘컨텐더’ 도입 예정 (모바일 X-SUIT BM과 유사) 월드 업데이트, 밸런스/메타 조정, 안티 치트 강화 계획 배틀그라운드 PC 사용자 증가 3/12 8주년 업데이트 이후 최고 동시 접속자 907,246명 기록 (2020년 이후 최고) 최근 1개월 평균 접속자 336,568명 (+29% YoY) 라이브 서비스 게임의 지속적 업데이트가 성장 요인 배틀그라운드의 장기 성장 가능성 무료화 전 누적 판매량 7,000만 장, 최고 동접 326만 명 기록 업데이트를 통한 신규/복귀 유저 유입 기대 카운터 스트라이크, 포트나이트,..

NAVER - 초개인화 커머스가시작됐다

2025.03.19/대신증권/이지은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80,000원 인터넷 업종 내 Top-pick 추천 SOTP 방식 목표주가 산출 서치 플랫폼: 21.9조원 커머스: 11.9조원 파이낸셜: 1.1조원 웹툰: 0.6조원 클라우드: 2.7조원 LY 지분가치: 6.3조원 커머스 실적 전망 1H25: 광고 확대가 성장 견인 2H25: 중개 수수료율 인상(2% → 2.8%)으로 매출 증가 예상 2025년 커머스 중개 매출 YoY 24% 성장 전망 OPM 전망: 2025년 19.7%(YoY +1.1%p), 2026년 21.1%(YoY +1.4%p) ‘네이버+스토어’ 앱 출시 및 효과 3/12 출시, 초개인화 커머스 목표 신규 광고 상품 출시, 광고 ..

IT서비스/NAVER 2025.03.19

카카오 - 하반기 느좋

2025.03.18/SK증권리서치센터/남효지 1. 올해 다양한 AI 서비스 출시 예정      - 카카오는 작년까지 AI 기술·전략이 경쟁사 대비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음      - 올해 OpenAI 협력 및 AI 서비스 로드맵 공개하며 기대감 상승      - 자체 LLM ‘카나나’ 및 글로벌 오픈소스 LLM API 조합해 생성 AI 구축      - 연내 출시 예정: ‘AI 메이트’, ‘카나나’, ‘생성형 AI 검색’, AI agent   2. 카카오 AI agent의 글로벌 유사 사례      - 가장 기대되는 서비스는 OpenAI 협력 기반의 한국형 AI agent      - 카카오는 메신저·금융·모빌리티·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 → 일상 속 AI agent 목표      - 유사 사례 ..

NAVER - 커머스 느좋

2025.03.18/SK증권리서치센터/남효지 1. B2C AI 서비스 본격 출시      - 네이버가 기존 B2B 중심에서 B2C AI 성과 본격화      - ‘네이버 플러스스토어’ 출시 (2024년 3월 12일)      - 기존 네이버 쇼핑(검색 중심) → 탐색·발견형 쇼핑 으로 진화      - AI가 상품 탐색, 가격 비교, 주문, 결제, 배송, 리뷰 등 전 과정 지원   2. 수수료 개편 효과      - 기존: 네이버 검색을 통해 유입 시 유입 수수료 1.81% 부과      - 변경(6월 2일부터): 네이버 쇼핑에서 판매된 거래액 기준으로 판매 수수료 적용        - 외부 마케팅 유입 시: 0.91%~1.82%        - 기타 유입 시: 2.73%~3.64%      - blen..

IT서비스/NAVER 2025.03.18

더존비즈온 - 제4인뱅 철회, 더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

2025.03.17/미래에셋증권/김수진 1.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철회      - 더존비즈온-신한그룹 컨소시엄이 예비인가 신청을 하지 않기로 결정      - 단기적으로 변동성 발생 가능성 있음      - 본업의 성장 가능성이 커지는 국면이므로 긍정적 이벤트로 해석   2. 철회 이유      - 금융업 진출이 동사의 방향성과 적합하지 않음      - 후발주자로 진입할 경우 수천억 원 이상의 비용 부담      -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로 사업 리스크 확대      - 본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철회 결정   3. 데이터 기반 금융 서비스 지속      - 금융업 진출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며, 더 유리한 방식으로 진행      - ERP 플랫폼 기반 금융 서비스 (대출 심사, 보험·카드..

현대오토에버 - 우려보다 반등에 대한고민이 필요할 때

2025.03.17/대신증권/김귀연 1. AW2025 참가 및 SDF 솔루션 소개      - 3/12~14일 *스마트공장/자동화 산업전(AW2025)* 참가      - SDF(SW Defined Factory) 구현 위한 *NNNEO Factory* 솔루션 전시      - 기조 세션에서 SDF 개념, 방향성, 경쟁력 및 공장 내 로봇 협업 가능성 설명      - 현대차그룹에서는 현대오토에버, 현대글로비스 참가      - 현대글로비스는 *보스턴다이나믹스 Stretch(물류로봇) / Spot(4족보행로봇)* 활용한 물류 솔루션 전시      - 스마트팩토리 적용 확대 및 외부 판매 가능성 확인   2. 2025년 매출 가이던스 및 전망      - 2025년 매출 가이던스 3.9조 원(YoY +5...

NAVER - [NDR 후기] 광고 견조한데 커머스 상향 가능성 높아

2025.03.11/한화투자증권/김소혜 1. 목표주가 30만 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 2025년 예상 P/E 18배로 밸류에이션 부담 존재하지만, EPS 및 멀티플 상향 구간 임박.      - 커머스 부문 실적 추정치 상향으로 목표주가 30만 원으로 조정.   2. 네이버쇼핑 수수료 인상 및 사업 확장 본격화      - 2024년 6월부터 수수료 체계 변경 → GMV 30조 원 기준 연간 약 3,000억 원 매출 증가 예상.      - 기존 무료였던 인스타·유튜브 셀러 거래에도 수수료 부과 → 직접적인 매출 증가 효과.      - 쿠팡(수수료 약 10%)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 → 추가 확장 가능성 높음.   3. GMV 및 매출 성장으로 마케팅 비용 증가 우려 상쇄  ..

IT서비스/NAVER 2025.03.11